기고

대구의 미래형자동차 시동

2016-03-22 10:53:40 게재
지난 1월 대구시는 '미래형자동차 선도도시'라는 비전과 '전기자동차 생산도시·자율주행자동차 실증 허브도시'를 목표로 미래형자동차과를 신설하는 의미 있는 첫발을 내딛었다. 대구시가 자동차산업과 관련 전담과조직을 만든 것은 이례적이다. 그러나 꼼꼼히 따져 보면 낯설지 만은 않다.

대구시는 자동차산업과 관련 뼈아픈 기억이 있다. 삼성의 상용자동차 공장이 제대로 꽃도 피워 보지 못하고 사라진 지난 2000년의 기억이다. 대구의 미래성장먹거리 산업으로 육성될 꿈이 없어진 것이었다. 섬유산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대체할 산업으로 자동차 산업에 목을 맸으나 결국 좌절됐다.

이같은 배경을 감안하면 대구시가 자동차산업 전담과를 만든 것은 시의적절한 선도적 조치다. 오히려 때늦은 감이 들기도 한다. 자동차관련 부품산업이 이미 대구의 주력산업으로 성장해 있고 전자와 'IT'(정보통신)산업의 융합이 될 수밖에 없는 미래형 자동차산업의 기반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자동차 모든 분야 밀착 지원 가능한 체제 구축

대구시는 특히 지난해 초부터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오면서 지난해 10월 유럽에 이어 올해 1월초 미국 자동차시장을 돌아보면서 '우리도 할 수 있다'는 확실한 비전을 갖게 됐다.

대구시는 미래형자동차 시대를 대비해 2014년 4월 '지능형자동차부품시험장'을 개장해 자율형자동차 부품개발을 지원해 오고 있으며, 지난해 6월에는 '그린카 파워트레인 전문연구센터'를 준공해 미래형자동차시대에 대응하고 있다. 여기에 한국기계연구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한국정보통신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 국책연구기관과 자동차부품연구원과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 대구기계부품연구원을 통해 자동차 모든 분야에서 현장밀착 지원이 가능한 지원체제를 구축했다.

특히 올해부터 산업부 '자동차 융합 얼라이언스(Alliance) 사무국'을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에 두어 타 지역과 차별되고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담아 미래를 준비하는 체계를 구축한 바 있다.

전기자동차 보급분야에서 제주도 및 서울시보다 늦게 출발하긴 했으나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에 적극 동참하고, 정부 '2030 에너지 신산업 확산 전략'에 맞춰 전기자동차 생산도시 실현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 1월 전기택시 50대를 시범 보급했고, 전기자동차 200대 보급도 추진중이다.

올해 안에 대구시 자체 예산으로 전기충전인프라 100여기를 구축하고 충전기 통합정보를 제공하는 관제 및 콜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또 이를 바탕으로 2017년부터 담대하게 전기자동차 보급계획을 확대시켜 전기차 생산도시를 위한 기틀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전기자동차 핵심부품 개발을 위한 지원체제도 구축해 나간다. 지난해 9월부터 산·학·연·관 전문가 30여명으로 구성된 워킹그룹을 운영, 전기자동차 시장 진입을 위한 비즈니스모델을 준비 중이다.

대구시는 정부추진 규제프리존 특별법을 통해 전국에서는 유일하게 시험장과 자동차 전용도로, 고속도로, 시내일반도로를 대상으로 자율주행자동차 One-Stop 실증이 가능한 테스트베드를 구축할 계획이다.

미래형자동차 발전 가로막는 규제 과감히 개혁

머지않아 자동차부품시험장에서 시험 검증된 자율주행차가 자동차전용도로인 테크노폴리스 진입도로의 시험을 거쳐 테크노폴리스와 국가산단, 수성의료지구의 실증을 통해 일반 시내도로를 다니는 모습을 일상에서 접하게 될 것이다.

대구시는 이러한 연구기반시설을 구축할 뿐만 아니라 미래형자동차 산업의 발전을 가로막고 있는 법과 규제를 과감히 개혁하고 광주시와도 힘을 합쳐 미래형자동차 선도도시를 만들어나갈 것이다.

권영진 대구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