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릴 수 있는 외상환자 사망률 35%

2016-12-09 11:15:14 게재

정부, 20%까지 내리겠다더니 6년째 제자리 … 3800억원 투입에도 문제 여전

살릴수 있는 외상환자의 사망률을 35% 수준에서 20% 수준까지 낮추겠다"고 보건복지부가 공언한지 6년째 되었지만 여전히 시스템 인력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

최근 전북대병원관련 2세 아동 사망사건은 우리나라 외상응급대응체계의 문제점을 여가없이 보여줬다. 사고후 전북대병원으로 이송된 아이는 다리가 아프다고 말을 할 정도로 의식이 있었지만 수술할 의사가 없다며 병원치료가 늦어졌고 응급실 당직 전공의가 두 시간에 걸쳐 12곳의 병원에 전원을 요청하는 동안 상태가 악화돼 결국 사망에 이르게 됐다.
추돌사고 부상자 구조│지난 10월 광주 동구 월남동의 한 도로에서 1t 화물차와 승용차가 추돌하는 사고가 발생, 광주 동부소방서 119 구조 구급대원들이 구조작업을 펼치고 있다. 광주 동부소방서 제공=연합뉴스


적절한 응급처치, 신속한 전원의 부재가 원인으로 드러났다.

정부는 최근 5년간 응급의료 기본계획과 관련해 1조5260억원을 집행했고, 권역외상센터에 3816억원의 예산을 지원했다. 전북대병원은 권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돼 이런 국가예산을 지원받고 있었다. 최초 전원 의뢰를 받았던 전남대병원도 역시 권역외상센터로 지정돼 국가지원을 받고 있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상희 의원(민주당·부천소사)는 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외상환자의 예방가능 사망률을 낮추기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외상센터가 재기능을 했었다면 이런 비극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며 "예산만 투입하고 질 개선을 하지 못하고 있는 정부는 뚜렷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날 토론회 참석자들은 '중증외상환자의 신속한 최종치료' '적절한 응급처치' '신속한 전원'이 가능한 인력과 시스템 구축을 강조했다.

김윤 서울대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교수는 "신속한 치료를 위해 전원율을 낮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전원환자의 사망률은 3배로 늘어나고, 다른 병원으로의 이송이 평균 3시간 정도 걸렸는데 이는 골든타임 안에 치료를 불가능하게 만든다.

응급환자의 높은 전원율은 10~15%로 미국의 2배나 된다. 중증외상환자는 더 전원율이 높은데 30%에 이른다. 전원환자 중 약 1/4이 위험한 상태로 전원되고 있다. 외상사망환자의 28.7%가 전원환자임을 고려하면 신속한 전원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이렇게 높은 지원율의 원인은 구급대원의 부정확한 환자 중증도 평가와 부적절한 병원으로의 이송, 중증응급환자를 수용하지 않는, 수용할 수 없는 병원의 사정(?)에 있다.

김 교수는 "구급대를 분산 배치하고 권역외상센터로 1시간 이내로 이송할 수 없는 경우 권역응급센터로 이송하고, 권역외상센터가 아직 개원하지 않은 지역은 외상진료팀 운영을 지원하며, 서울지역에 4-5개 외상센터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김 교수는 "외상센터 적정 인력 수준을 재검토하고 중증환자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전원하지 못하도록 명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관련 안기종 한국환자단체연합 대표는 "응급환자나 중증외상 환자가 우리나라 어디에서 발생하더라도 골든타임 안에 권역응급의료센터나 외상센터에 도착해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총체적인 개혁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규철 기자 gckim1026@naeil.com
김규철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