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의료·IT·금융 융복합 서비스), 건강·치료비 다 잡는다

2017-04-18 10:46:16 게재

해외선 본격 도입단계

국내는 제도개선 숙제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사람들이 단순히 오래 사는 것보다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에 관심이 높아졌다. 진료 방식도 치료에서 진단과 예방, 건강관리로 확대됐고 수요자도 환자에서 건강인으로 대상도 넓어졌다.

여기에 인공지능, 빅데이터의 등장 등 4차산업혁명이 진행되면서 의료서비스 분야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건강관리와 진단의 영역에 더욱 고도화된 IT기술이 도입되면서 헬스케어산업이 주목받게 된 것이다.
◆해외에선 헬스케어 상품 출시 봇물 = 17일 보험연구원이 주최한 '제4차 산업혁명과 헬스케어 산업 활성화' 정책세미나에서는 해외의 다양한 헬스케어 사례가 발표됐다. 정성희 보험연구원 사회안전망연구실장은 "기술접목과 산업간 융합이 활발하게 이뤄져 헬스케어 산업의 생태계 외연이 확대되고 있다"면서 관련 사례를 소개했다.

일본에서는 정부기관, 학계, 건강관리업체, IT업체가 업무제휴를 맺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개인건강정보 축적·관리, 빅데이터 분석, 의과대학과 공동연구를 수행해 서비스 연계형 상품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일본 정부가 개인 건강정보활용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어 보험회사의 정보 활용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인터넷 플러스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중국도 헬스케어서비스 산업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중국 중안보험은 2015년 당뇨병 환자의 건강상태를 보험료에 반영하는 '탕샤오베이'라는 상품을 출시했다. 이 상품은 혈당 측정 의료기기, 의료정보 전송, 빅데이터 구축, 원격병원 비즈니스 등과 연계돼 있다.

또 중국 안방보험이 소유한 알리안츠는 임산부와 태아 건강관리를 위한 '카이스'라는 상품을 내놓기도 했다. 카이스는 디지털 기기로 태아의 상태 정보를 수집 분석하고 산부인과와 제휴해 진료기록을 관리하고 원격의료자문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관련해 정유신 서강대 교수는 "글로벌 시장과 비교해 한국의 인슈어테크 바람은 잔잔한 편"이라면서 "전체적으로 다양성이 취약하고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상품 출시를 고려하는 초기단계"라고 지적했다.

◆질병 예방으로 진료비도 경감 = 다양한 헬스케어 서비스가 도입돼 질병을 예방할 수 있게 되면 개인 의료부담은 물론 국가 재정부담도 줄일 수 있다.

이에 대해 홍석철 서울대 교수는 "맞춤형 건강관리 또는 질병관리로 건강행위를 바꿈으로써 만성질환을 예방하고 질병부담을 줄일 수 있다"면서 "중장기적 관점에서 국민건강증진의 효과는 상당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건강증진 효과와 관련해서는 국내에서도 성공 사례가 있다. 지난 2014~2015년 다이어트 앱 눔(Noom), 서울시,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이 공동으로 진행한 다이어트 프로그램에서 최고 비만율을 보이는 30~40대 직장인 120명이 평균 체중 5.9Kg, 평균 체지방 5.6% 줄인 바 있다.

헬스케어서비스에 빛도 있지만 그늘도 있다. 공공성이 저해될 수 있고 개인의 건강정보가 유출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에 대해 홍 교수는 "개인정보 유출 위반시에는 엄격한 법적 책임을 요구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과도한 제한은 헬스케어 산업 자체를 제한할 수 있다" 말했다. 이어 "헬스케어 산업 활성화를 위해 정부는 의료규제 완화를 위한 주도적 역할이 필요하다"면서 "건강증진의 효과는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는 만큼 장기적인 안목에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소원 기자 hopepark@naeil.com
박소원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