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지원금에 청년알바 줄고 구직활동 늘었다

2019-10-29 11:16:10 게재

고용부 사업효과 분석

식비, 소매유통 사용 순

정부의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을 받은 청년들이 아르바이트를 줄이고 구직활동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들은 지원금을 식사비나 소매유통 같은 구직 활동에서 필요한 생활비에 대부분을 사용했다.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은 기준 중위소득 120%(4인 가구 기준, 월 553만6천243원) 이하 가구에 속하고 학교를 졸업한 지 2년 이내인 만 18∼34세 청년을 대상으로 한다. 미취업자만 지원 대상이지만, 노동시간이 주 20시간 이하인 아르바이트생도 받을 수 있다.

고용노동부가 28일 발표한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사업효과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 5월부터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을 받은 1기 수급자 9417명 가운데 9월 말 현재 아르바이트를 하는 사람의 비율은 16.9%였다.


청년구직활동지원금 1∼3기 수급자 3만6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수급 직전 아르바이트를 한 사람의 비율은 25.3%였다. 지원 뒤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활동 비중이 8.4%p 떨어진 것이다.

1주에 아르바이트를 하는 날도 지원금 수급 이전에는 평균 2.95일이었으나 수급 이후에는 2.73일로 7.5% 줄었다. 하루에 아르바이트를 하는 시간도 수급 이전 5.69시간에서 5.33시간으로 6.3%감소했다.

반면 청년들의 구직활동은 늘었다. 하루에 취업 준비를 포함한 구직활동 시간은 지원금 수급 이전에는 평균 6.33시간이었으나 수급 이후에는 7.42시간으로 17.2% 증가했다.

최근 3개월 동안 입사 지원, 면접 응시 등 직접적인 구직활동을 한 횟수도 수급 이전 3.13회에서 수급 이후 3.44회로 9.7% 늘었다.

지원을 받은 청년의 99.7%는 '진로 및 취업목표 성취에 지원금이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81.7%가 '경제적 부담이 줄어 구직활동에 전념할 수 있었다'고 응답했다.

박종필 청년고용정책관은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을 받는 청년들은 아르바이트 시간을 줄이고 구직활동에 더 전념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평가했다.

고용부는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수급자의 지원금 결제내역 분석 결과도 공개했다.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수급자는 '클린카드'를 통해 지원금을 받는다. 클린카드로 들어온 지원금은 현금화가 불가능하고 유흥업소 등에서는 쓸 수 없다.

지난 7월 말 기준으로 1∼3기 수급자의 클린카드 결제는 총 175만2163건이었고 이 가운데 식비가 58만2983건(33.3%)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소매유통(27.4%), 인터넷구매(13.3%)가 뒤를 이었다.

결제 금액으로 보면 인터넷 구매에 쓴 돈이 86억803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식비(55억4708만원), 소매유통(37억465만원), 학원비(16억4548만원) 등의 순이었다.

인터넷구매는 온라인 강의와 온라인 서점·배달대행업체 이용이 대다수인 것으로 알려졌다.

고용부는 인터넷 구매 물품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청년들의 지원금 결제 1회당 평균 금액은 1만6413원이었다. 항목별로는 학원비(20만2671원)가 가장 많았고 독서실 사용 등 공간대여(10만4845원), 통신비(7만6916원) 등이 뒤를 이었다.

고용부는 "이번 분석은 지난 5월 첫 지원금 지급 후 5개월 밖에 되지 않은 상황에서 진행해야 하는 시간상 한계로 일자리 효과 분석까지는 진행하지 못했다"면서 "추가 조사를 통해 취업 후 임금이 얼마나 상승했는지, 일자리 만족도는 또 얼마나 올랐는지 등의 효과도 확인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박 청년고용정책관은 "일부 청년의 (부적절한) 지원금 사"청년들의 경제적 부담 완화와 다양한 구직활동을 지원한다는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그동안 사용내역 보다는 구직활동 모니터링에 집중했으며, 이번 분석을 통해 의도한 효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앞으로 이번 심층인터뷰 결과로 확인한 청년들의 의견이나 외부 지적을 정책에 반영하도록 노력하고, 지원금을 통해 가정형편이 어려워 구직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이 학교에서 사회로 나가는 데 공정한 첫 걸음을 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고용부는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사업 효과 분석 결과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도 제출했다.

한남진 기자 njhan@naeil.com
한남진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