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차 상용화 발목 잡는 충전인프라

2021-02-26 10:44:33 게재

'수요-공급 미스매치'가 원인

경기연구원 "생활거점에 확충"

전기차와 수소차 보급 속도에 비해 충전 인프라 구축 속도가 너무 느리고 숫자도 부족해 그린 모빌리티(mobility) 실현에 큰 장애를 맞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25일 발간한 '미래차 상용화 발목을 잡는 충전 인프라'에서 "미래 모빌리티 확산의 단초인 충전 인프라가 수요 대비 턱없이 부족하다"며 "생활거점 중심으로 확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내일신문 2월 10일 4면 참고>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세계 전기차와 충전기 보급의 54%, 40%를 각각 차지하고 있고 일본과 독일은 '선 수소충전 인프라 구축, 후 수소차 보급' 전략을 펴 한국보다 수소차 보급 대수는 적지만 수소충전소 보급은 전 세계 1위(일본 137개) 2위(독일 93개)를 차지하고 있다.

수소충전소는 전 세계에 490개(2020년 12월 기준)가 있고 한국에는 47개(4위)가 있다.

국내 공용 전기차 충전기 역시 차량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운영 효율성도 낙제 수준이다. 충전수요가 적은 지점과 지역에 더 많이 설치된 반면 충전수요가 많은 지점과 지역에는 부족한 '수요-공급 미스매치'로 비효율성이 심각하다.

연구원이 분석한 결과 시청 등 공공시설에 설치한 공용 급속 전기차 충전기는 전체의 29.6%로, 설치지점 비중 순위에서 1위를 차지하지만 1기당 일평균 충전량 비중 순위는 4위로 13.7%에 그쳤다. 반면 휴게시설은 설치지점 비중 순위가 8.8%로 5위에 불과한데도 충전량은 32.6%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시도별 설치지역과 충전량도 엇박자다. 설치지역 순위가 각각 5위와 6위인 강원도와 전라남도의 충전량 순위는 15위와 16위에 그치고 있는 반면, 대구·충청·대전 등은 충전량 순위는 높지만 설치지역 순위는 하위권이다. 그 결과 공용 급속 전기차 충전기 1기당 적정 담당대수인 10대에 비해 현재 16.9대로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거주지 및 직장 '생활거점' 중심의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부족해 2020년 신규 전기차 보급목표 달성률은 60%에 불과했다.

수소 충전소 구축은 정부 목표 대비 달성률이 28.1%에 불과하다. 2020년까지 167개 구축이 목표였으나 47개에 그쳤다. 그 중 42개(90%)는 도심지에서 멀리 떨어진 산업단지 등 외곽에 있어 수요자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여기에 인근지역 주민 반대, 인허가 지체와 입지규제, 기초지자체의 갈등 중재 소극적 대응, 민간사업자 시장참여 기피 등이 인프라 구축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강철구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미래차 보급을 통한 친환경 자동차 시대 선도는 충전 인프라 구축이 선행돼야 가능하다"며 "향후 충전 인프라는 충전 효율성과 편의성에 기반한 생활거점에 집중 설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주거지·직장에는 공용 완속 전기차 충전기를 확충하고 주유소나 LPG충전소에 급속 충전기를 확대 설치하자고 제안했다. 강 연구위원은 "주유소와 LNG 공급소를 이용하여 도심형 수소 충전소를 확대하고, 수소 충전소 인허가 특례 도입과 함께 안전에 대한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한 홍보 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곽태영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