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H, RPA 도입 연 2만시간 절감 기대

2024-11-26 09:53:59 게재

2년 동안 16개 과제 추진

공공부문 디지털혁신 속도

경기주택도시공사(GH)는 25일 로봇업무자동화(RPA, Robotic Process Automation) 시스템 도입을 통해 연간 약 1만9576시간의 업무시간을 절감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경기주택도시공사 광교신사옥 전경
경기주택도시공사 광교신사옥 전경

RPA는 컴퓨터로 하는 단순·반복 업무를 로봇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동화하는 기술이다.

GH는 지난해 전세 임대 계약자 시스템 등록, 수의계약 현황 누리집 공개, 일일 자금보고 데이터 작성, 누리집 자료 게시, 지출 지급명령 검증, 임대료 수입결의 6개 업무에 대해 RPA를 시범 도입했다.

올해는 채권서류 등록, 전세임대주택 등기부등본 발급, 등기우편배송 조회, 전세사기피해자 심의결과 통보, 평가위원 모집서류 정리 등 10개 업무에 추가했다.

GH는 16개 업무에 RPA를 도입하면서 연간 1만9576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약 9.4명이 1년 동안 일하는 시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직원들이 창의적이고 전략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세용 GH 사장은 “2023년 시범사업 성과를 기반으로 올해 10개 RPA 과제 개발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면서 공사의 업무효율성을 대폭 향상시켰다”며 “디지털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효율적이고 스마트한 조직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곽태영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