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그룹 발전계열사 대표 대폭 교체
홍순기 대표 GS 부회장 승진
GS리테일 대표에 허서홍
27일 단행된 GS 그룹 임원 인사 특징은 핵심 인재를 최고 경영진으로 선임해 전진 배치하고, 당분간 불황이 예상되는 사업 영역에 대한 위기 대응력 강화 차원에서 선제적인 조직 재정비를 실행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이에 따라 △부회장 승진 1명 △대표이사 선임 7명(전배 1명 포함) △사장 승진 2명 △부사장 승진 5명 △전무 승진 7명 △상무 신규 선임 18명 △전배 2명 등 총 42명에 대한 2025년도 임원인사를 내정 발표했다. 이번 임원 인사는 각 계열사별 이사회 등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우선 홍순기 ㈜GS 대표이사 사장이 부회장으로 승진한다. 홍순기 부회장은 1986년 호남정유에 입사한 이후 LG 구조조정본부를 거쳐 2004년 ㈜GS 출범과 함께 자리를 옮겨 업무지원팀장, CFO 등을 역임하였으며, ‘20년에 대표이사로 선임돼 허태수 회장이 주도하고 있는 GS 그룹의 경영 혁신을 안정적으로 보좌하고 있다.
GS 그룹 내 발전사들의 최고 경영진을 대폭 교체 선임했다. 핵심 발전사인 GS EPS의 대표에는 또다른 발전사인 GS E&R의 대표를 맡고 있던 김석환 사장이 이동 선임돼 발전 시설 고도화를 비롯해 전력시장 전환기의 전략적 대응 임무를 수행하도록 했다.
GS E&R 신임 대표에는 김성원 부사장을, GS동해전력 신임 대표에는 황병소 전무를 임명했다. GS파워의 대표이사 유재영 부사장은 사장으로 승진해 부천과 안양 지역의 열병합발전 사업을 고도화하고 미래 전력시장을 선도할 리더십을 한층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번 임원 인사는 정유·석유화학과 건설 등 당분간 어려운 업황이 예상되는 사업 조직에 대한 선제적 재정비를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향후 호황기를 대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GS건설은 자회사인 자이C&A와 자이S&D의 신임 대표이사로 각각 신상철 부사장과 구본삼 부사장을 선임했다.
이번 인사에서 허연수 GS리테일의 대표이사 부회장은 경영 조언자의 역할로 한 발 물러난다. 허연수 부회장은 LG상사를 거쳐 ‘03년도 GS리테일에 합류한 이래 약 22년간 편의점과 슈퍼마켓 점포망을 확장하는 등 GS리테일을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대표 유통기업으로 성장시켰다. 새로운 리테일 시장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젊고 유능한 차세대 리더에게 지휘봉을 넘기는 용단을 내렸다.
GS리테일의 신임 대표에는 GS리테일 전사 경영전략SU장인 허서홍 부사장을 내정했다.
파르나스호텔 대표이사인 여인창 전무는 탁월한 영업 실적과 고객기반 확대 등의 성과를 인정받아 부사장으로 승진한다. ㈜GS 업무지원팀장인 최누리 전무는 AI 와 디지털 기술을 통해 그룹 전반의 체질을 개선하고 미래성장의 기반을 마련하면서 부사장으로 승진하고, GS에너지의 LNG 전문가인 진형로 전무가 부사장으로 승진한다. 또한, GS리테일에서 홈쇼핑BU의 사업 혁신을 이끌고 있는 박솔잎 전무가 부사장으로 승진하고, 슈퍼마켓 사업 턴어라운드를 성공시킨 정춘호 전무가 부사장으로 승진해 편의점 사업부를 책임지기로 했다.
또한, GS엠비즈의 허철홍 부사장은 GS글로벌의 기획 신사업본부로 이동하여 미래 전략과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미션을 부여받았다.
이외에도 GS에너지가 급변하는 에너지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해외 자원 개발과 트레이딩 전문가인 김진학 상무와 박종선 상무를 신규 보임했다.
또한, ㈜GS에서 비욘드 영역의 신사업 확장을 추진하고 있는 황재웅 상무와 GS E&R의 신재생에너지 자회사인 GS풍력발전 대표인 김수연 상무가 전무로 승진했으며, GS칼텍스에서 여수공장의 디지털 전환을 주도한 송지호 공정기술부문장과 GS리테일 김요한 홈쇼핑DX부문장을 각각 상무로 발탁하는 등 신사업과 디지털 전환에 힘을 실었다.
네이버 사업개발센터에서 경력을 쌓은 이수현 상무가 GS리테일 전략부문장으로, 딜로이트 컨설턴트이자 SK이노베이션에서 Talent담당으로 재직했던 지승영 상무를 GS건설 HR혁신팀장으로 영입하는 등 우수인재 영입을 통한 조직 쇄신도 함께 이루어졌다.
GS그룹의 벤처투자전문회사인 GS벤처스에 홍석현 신임 대표를 발령하였다.
한편, GS스포츠 대표이사인 여은주 부사장이 사장으로 승진해 우수 선수 영입과 뛰어난 경기력으로 K리그 역대 최다 관중 기록을 세우고 있는 FC서울 축구단의 성과를 더욱 가속화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