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주택, 청년·신혼 아니라도 괜찮아요

2019-06-21 12:08:12 게재

동작구 임대주택 상담·자문도 맞춤형

한부모·홀몸노인 공공주택 별도 공급

"수급자들만 임대주택에 사는 줄 알았어요. 행복주택도 대학생 신혼부부만 들어가는 게 아니라네요?"

서울 동작구 노량진동에 사는 궁부선(70)씨. 최근 대방동주민센터를 찾았다가 들은 희소식에 입이 귀에 걸릴 지경이다. 궁씨는 "나같은 사람한테 딱 맞는 국민임대가 있다고 한다"며 "지금 전셋돈 정도면 입주할 수 있다니 당장 찾아가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동작구가 주민 연령대와 가족 형태별로 맞춤형 공공임대주택을 제공하는 동시에 임대주택 입주를 희망하는 주민들을 위한 상담과 자문도 맞춤형으로 전환했다. 지난달 대방동 청년 1인가구 맞춤형 주택 입주식에서 이창우 동작구청장이 입주자들과 함께 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 동작구 제공


동작구가 주거문제에 대한 걱정과 궁금증으로 가득한 주민들을 위한 '임대주택 하루학교'를 열어 효과를 톡톡히 봤다. 중앙정부 서울시와 별개로 한부모가정 홀몸노인 청년 신혼부부를 위한 '동작구형 임대주택' 공급에 이어 준비한 또다른 맞춤형 서비스다.

하루학교는 복잡한 임대주택 관련 사항을 쉽게 이해하고 매입·전세 신청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한 자리다. 최근 2년간 LH와 서울주택도시공사 등이 추진한 임대주택을 신청한 주민만 6240가구. 그만큼 임대주택에 대한 관심이 많고 수요가 높다고 판단했다.

LH와 동작주거복지센터 관계자가 나서 공공임대 매입과 전세, 임대주택 신청자격과 방법 등을 알려주고 1대 1 주거상담을 진행한다니 구 전역에서 주민들이 몰려들었다. 상대적으로 주거환경이 취약한 주민들이 많을 것으로 판단해 구 희망복지팀 공무원과 자문 변호사를 배석시켜 복지사업 안내와 법률상담 등도 곁들였다.

궁부선씨는 하루학교에 참가신청을 한 첫번째 주민이다. 그는 "구 소식지에서 보고 바로 신청을 했는데 너무 잘 왔다"며 만족해했다. 궁씨 외에도 사업하다 부도를 낸 아들을 위해 은행에서 대출을 받아 어렵게 마련한 주택을 팔아 빚을 갚고 오갈 데가 없어진 노부부, 영구임대아파트를 찾고 있지만 오랫동안 살아온 동네를 떠나기는 싫은 노인 등이 번호표를 받고 순서를 기다렸다. 박옥호(82·상도2동)씨는 "자식들에게 손 안 벌리고 전세 부담도 없는 집을 찾고 있다"며 "결과가 좋을 것 같다"고 기대했다.

동작구는 주민들 호응에 힘입어 하반기에 사당권역에서 하루학교를 열 계획이다. 장은주 주거복지팀장은 "당초 50명을 예상했는데 주민들이 몰려 70명으로 마감했다"며 "여건이 맞지 않아 임대주택 연결이 어려운 주민도 있어 안타깝지만 상당수는 희망을 안고 돌아갔다"고 전했다.

하루학교가 중앙정부와 서울시 임대주택을 주민 눈높이에 맞게 안내하는 사업이라면 '동작구형 임대주택'은 구에서 자체적으로 마련한 공공주택이다. 구 관계자는 "지역에 사는 한부모가정과 홀몸노인 가구가 2400여 세대인데 1/4 가량이 지하와 반지하 옥탑방에 살고 있다"며 "현재 임대주택은 가족 수가 많은 가구일수록 유리해 특히 홀몸노인은 배제되기 십상"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노량진동을 중심으로 공무원 시험이나 취업 준비를 위해 모여드는 청년들이 3.3㎡당 13만원씩 월세를 부담하고 있다는 도고 고려, 2017년 서울시 자치구 가운데 처음으로 임대주택 공급 전담 팀을 신설하고 맞춤형 주택을 공급해왔다.

2015년 모자가정 26세대가 국사봉길에 위치한 5층 주택에 둥지를 틀었고 지난 1월에는 성대로길 원룸형 주택에 홀몸노인 27세대가 입주했다. 홀몸노인 원룸은 거동이 불편한 노년층을 고려해 숫자판을 키운 승강기와 통행 보조용 난간, 욕실 내 비상벨을 설치했다. 지난 5월 입주식을 연 대방동 청년 1인가구 주택에 사는 청년들은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문화 여가 심리상담을 지원받는다. 공원과 어린이집 인근에 신혼부부 임대주택도 20세대 마련했다. 동작구형 임대주택은 2021년까지 총 228세대 늘어난다.

지난해 2월에는 동작신협과 '보증금 융자협약'을 맺고 주민들이 5년 거치 상환 조건으로 보증금 90%까지 빌릴 수 있도록 했다. 이창우 동작구청장은 "좁은 공간에서 살고 있는 주민들이 더 나은 주거공간에서 지내도록 국가가 정한 최저 주거기준(14㎡)보다 넓은 20㎡ 이상으로 공급하고 있다"며 "보편적 주거복지 실현과 주거 선택권 확대를 위해 생애주기별 공공주거서비스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김진명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