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사태서 빛 발한 사회적경제 | 2. 위기에 빠진 이웃에 손을 내밀다

긴급지원·판로개척으로 위기 극복

2020-12-11 13:19:09 게재

서울시, 직간접 피해기업 270억 대출 … 사회적기업 전용쇼핑몰도 성황

#. 제주공항 JDC 면세점에는 재활용 가죽가방을 판매하는 3평 남짓 크기의 매장이 있다. 이곳에서 판매하는 가방 '컨티뉴'는 인기가 대단하다. 컨티뉴는 자동차 가죽 시트, 안전벨트, 에어백 등을 재활용해서 만든다. 그룹 방탄소년단(BTS) 리더 RM이 구입해 유명세를 탔다. 컨티뉴를 만드는 사회적기업 '모어댄'은 SK그룹과 서울시 지원을 받아 JDC에 입점했으며 코로나 위기에도 높은 매출을 이어가고 있다.

#. 서울시가 사회적기업들과 2014년부터 공동운영하는 공공구매 쇼핑몰(함께누리몰)은 사회적 기업 판로 개척에 한몫하고 있다. 600여개 기업이 참여해 주로 공공 영역에 납품을한다. 공공기관들에는 우수한 사회적기업 제품을 한곳에서 비교·구매할 수 있는 구입처로, 사회적기업에는 자사 제품을 효과적으로 홍보하는 장터로 올해 매출이 30억원까지 올라설 전망이다.
 

서울시가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사회적기업 60곳에 구호키트와 방역서비스를 제공했다. 서울 용산생협 직원들이 시에서 지급한 감염병 긴급 구호키트를 들고 있다. 사진 서울시 제공


코로나19로 매출과 수익이 급감한 사회적경제기업들이 서울시 지원으로 힘을 얻고 있다. 고용 유지를 위한 일자리 지원, 사회적기업 종사자를 위한 긴급 융자, 판로 개척 등 사회적기업 현실에 맞는 다양한 지원이 올해 이뤄졌다. 특히 판로 지원은 사회적기업의 중장기적 성장 기틀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고용 창출·유지 모두 중요 =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서울시 지원은 크게 세 종류로 나뉜다. 경영위기에 따른 일자리 감소에 대비하는 것, 코로나19로 직간접 피해를 입은 기업을 긴급 지원하는 것과 함께 판로 개척을 돕는 일이다. 경영악화 상태에서 고용을 유지한 기업에는 기업당 최대 2000만원을 지원했다. 제품개발·제작·마케팅에 드는 비용을 지원해 매출 유지를 도왔다. 청년을 새로 채용하는 곳에는 인건비를 지원했다. 서울시 생활임금의 70%선인 1인당 153만9000원을 최대 3인까지 5개월간 지원한다. 추경을 통해 재원을 마련했고 모두 176개 기업 337명의 일자리가 새로 만들어졌으며 13억원이 소요됐다. 고용유지로 지원을 받은 기업도 155개, 20억여원이 지급됐다.

코로나 특별융자는 성장단계로 올라서기까지 시간이 필요한 사회적기업들 숨통을 틔웠다. 기업과 개인에겐 아주 낮은 이자로 융자를 시행하고 금융기관이 거둬야할 이자 차액을 서울시가 부담하는 방식이다. 서울시 사회투자기금을 통해 융자를 받는 쪽은 저리 대출을, 금융기관은 이자 수익을 보전할 수 있다. 위기극복에 공감한 금융기관들이 융자한도를 늘리면서 총 270억원까지 총액이 늘었고 올해 10월까지 161건, 143억원의 대출이 실행됐다. 피해유형에 따라 금리가 다르게 적용됐다. 확진피해를 입은 기업은 0.5%, 도소매업 등 직접피해기업은 1.0%, 그밖에 간접피해를 입은 기업은 1.5% 이자를 적용했다. 기업은 최대 3억원, 개인은 500만원까지 융자가 가능하다.

고용불안 노동자들을 위한 생계자금 소액대출도 실시했다. 특수고용, 프리랜서, 배달업에 종사하는 플랫폼 노동자 등이 대상이다. 지난 7월 3차 추경을 통해 30억원 예산을 확보했고 3년 후 상환하는 조건으로 개인당 500만원 한도 내에서 융자를 실행했다.

◆616개 기업 참여, 공동쇼핑몰도 =사회적기업들이 긴급 지원만큼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판로 개척이다. 생산한 제품을 팔 곳이 없으면 기업 운영이 지속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서울시가 이 분야에 집중하는 이유다. 우선 시와 자치구, 투자출연기관의 공공구매를 활성화했다. 시 전체 공공구매의 최소 2%는 무조건 사회적기업 제품으로 구입하기로 했다. 제품군이 다양화돼 있지 않아 구매 가능 품목이 제한적이라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공공구매 규모는 2015년 600억원에서 지난해 1690억원까지 3배 가까이 증가했다.시는 사회적기업 판로지원에 관한 조례를 통해 구매액의 5%를 사회적기업에 할당할 것을 산하 기관에 권유하고 구매 실적을 경영평가에 반영하고 있다.

서울시와 사회적기업들이 공동운영하는 공공구매 쇼핑몰은 효자 플랫폼이다. 616개 기업이 입점해있으며 올 한해 약 30억원 매출이 이곳에서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TV홈쇼핑에서도 사회적기업 제품을 만날 수 있다. 시는 롯데홈쇼핑과 2018년 협약을 맺고 우수 사회적기업 제품을 홍보하고 있다. 롯데측은 월 1회 사회적기업 제품을 방송을 통해 홍보해주고 판매 수수료를 받지 않기로 했다.

민간 판로 개척도 활발하다. 제주공항에 이어 김포공항 3층에도 특별상점이 지난 5월 문을 열었다.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도 사회적기업 제품만을 모아서 판매하는 전용 매장(소영씨스토어)이 선을 보였다.

방역에도 도우을 주고 있다. 60개 기업에 감염병 긴급 구호키트를 지급하고 3차례에 걸쳐 소독방역서비스를 지원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코로나 긴급 상황에서 기업 처지에 맞는 긴급지원으로 위기를 함께 헤쳐나갈 수 있었다는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힘이 난다"며 "공생과 공존 가치를 중시하는 사회적기업을 돕기 위해 다양한 지원방안을 지속적으로 발굴할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 사태서 빛 발한 사회적경제" 연재기사]

이제형 기자 brother@naeil.com
이제형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