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갈등하면 일본이 반사이익

2017-03-13 10:40:50 게재

한-일 주요품목 수출경합도 치열 … 중-일 센카쿠 갈등시 한국 수출증가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배치 문제로 중국이 한국에 경제보복 조치를 강행하는 가운데 한국과 중국의 갈등이 커질 경우 일본이 반사이익을 챙길 것으로 우려된다.


한국과 일본의 주요품목 수출경합도가 치열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2012년 9월 일본의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국유화 선언이후 중국과 일본의 갈등이 노골화됐을 때 한국이 무역부문에서 간접이익을 본 전례도 있다.

13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센카쿠 분쟁이 본격화되기 직전인 2011년 중국을 상대로 한국은 478억달러, 일본은 471억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각각 기록했다. 하지만 분쟁이 본격화된 2012년 한국은 대(對) 중국 무역흑자가 535억달러로, 전년보다 57억달러 늘었고, 같은기간 일본은 262억달러로, 흑자규모가 209억달러 줄었다.


2016년에는 대중 무역흑자 규모가 한국 374억달러, 일본 157억달러로 모두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한국과 일본의 수출경합지수는 48.7p(2015년 기준)로, 양국의 수출구조가 상당히 유사하다"며 "중국의 대일본 및 대한국 수입현황을 보면 2012년부터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늘어나는 등 우리나라가 반사이익을 봤다"고 분석했다.

이어 "일본은 2011년 대지진 이후 동남아시아로 생산기지를 이전해 자국내 수출이 줄어든 측면도 있다"며 "하지만 사드배치에 따른 중국의 보복조치가 확대될 경우 한국의 대중국 수출은 줄고, 그 자리를 일본제품이 차지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내다봤다.

수출경합지수는 양국의 수출구조가 유사할수록 경쟁이 높다는 전제 하에 특정 시장에서 양국 간 경쟁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다. 예를 들어 A국 시장에서 B국, C국의 수출상품구조가 완전히 일치하면 지수는 100, 수출상품구조가 전혀 다르면 0이다.

2012년 9월 센카쿠열도 분쟁으로 인한 한국의 반사이익 정도는 그 이후 중국의 월별 수입증가율을 보면 확연히 드러난다.

중국의 대일본 수입증감율은 2012년 9월 -9.6%를 시작으로 10월 -10.2%, 11월 -15.0%, 12월 -19.4%, 2013년 1월 15.5%, 2월 -36.0%, 3월 -18.4%, 4월 -3.2%, 5월 -13.7%, 6월 -16.3%, 7월 -9.0%, 8월 -27.1%로 1년간 현격한 감소세를 보였다.

이에 비해 중국의 대한국 수입 증감율은 2012년 9월 8.6%, 10월 6.5%, 11월 9.0%, 12월 9.2%, 2013년 1월 29.2%, 2월 -12.5%, 3월 11.8%, 4월 27.2%, 5월 14.4%, 6월 10.5%, 7월 17.4%, 8월 12.0%로 대조를 보였다.

일본 입장에서는 대중 수출뿐 아니라 중국 내수시장에서도 직격탄을 맞았다. 특히 중국에 진출한 일본자동차들의 피해가 컸다.

2012년 9월 이후 중국에서 일본기업에 대한 불매운동과 일본 관광금지 조치가 잇따르면서 도요타 혼다 닛산의 판매가 절반으로 줄었다. 파나소닉 캐논 등 전자업체는 중국공장을 가동 중단하기도 했다.

한편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은 우선 '중국 소비자의 날'인 15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매년 이날에는 중국중앙방송(CCTV)이 기업고발프로그램을 2시간 동안 생방송으로 진행하는데 주로 외국계 기업이 타깃이었다.

이 프로그램에서 타깃이 되면 주가 폭락, 판매급감뿐 아니라 영업정지 등 기업경영에 상당한 에로를 겪는다. 롯데그룹 등이 걱정하는 이유다.

앞서 금호타이어는 1994년 중국에 진출해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해오다 2011년 CCTV의 제물이 된 이후 현재 매각을 눈앞에 둔 처지에 놓였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이재호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