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멧돼지 걱정하다 돼지농가 다죽는다"

2020-05-12 11:44:29 게재

한돈협회, 사육 중단조치에 반발 … 광역울타리 내 멧돼지 박멸 요구

접경지역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검출로 정부 방역 대책이 강해지자 한돈농가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이후 접경지역 한돈농가들의 재입식(돼지사육)을 허가하지 않고 차량출입을 통제했다.
한돈협회가 11일 오후 청와대 앞에서 재입식과 야생멧돼지 박멸, 피해보상 촉구 등을 요구하며 집회를 열었다. 사진 한돈협회 제공


대한한돈협회는 11일 오후 청와대 사랑채 분수대 앞에서 무기한 1인 시위와 천막농성에 들어가며 "ASF 피해농가 재입식 요구와 접경지역 축산차량 출입 통제 강화에 대한 재검토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하태식 한돈협회장은 "투명하고 공정한 방역으로 세계적 호평을 받은 코로나19 대책과는 달리 ASF방역은 농가의 희생만 강요하고 있다"며 "한돈농가 생존권을 위해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대정부 투쟁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농가들은 △예방적 살처분 방역에 동참한 선량한 농가 즉시 재입식 허용 △광역울타리내 야생멧돼지 완전 소탕 △야생멧돼지 ASF 발생 시 살처분·도태명령 500m 이내로 제한 △접경지역 한돈농가 출입차량 과도한 통제 저지 △ASF 피해농가 영업손실·폐업지원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지난해 9월 ASF 발생에 따라 살처분에 동참했고, 이후 8개월간 접경지역 농가에서는 발병 사례가 없는데도 재입식을 허가하지 않은 것에 불만을 나타냈다.

한돈농가는 정부의 방역대책이 일방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사육돼지가 없는데도 농장시설 운영을 위해 유지비용만 투입해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농가들은 "지금 당장 돼지를 입식해도 실제 수익이 발생할 때까지는 최소 2년을 기다려야 한다"며 "이 시간을 버틸 수 있을 지 한계상황이고, 극단적 피해가 예상되는 농가들이 속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 조치로 인해 발생 손실을 보상해주는 것이 마땅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축산농가 차량출입 통제도 일방통행식 대책이라고 지적했다. 농장 내 차량통행 제한을 역학조사 결과나 차량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사례 등과 같은 객관적인 위험성 등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지 않고 강압적으로 밀어붙이는 정책이라는 입장이다.

ASF 차단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주문하기도 했다. 현재 광역울타리 밖에서도 야생멧돼지 ASF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멧돼지 제어에 사실상 손을 놓은 상태라며 불만을 쏟아냈다.

이런 상황에서 농식품부의 축산농가 이동금지 등의 규제는 앞뒤가 틀렸다는 것이다. 한돈협회는 "광역울타리 안에 있는 모든 야생멧돼지를 박멸하고 고속도로를 활용한 체계적인 야생멧돼지 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는 "야생멧돼지에서 발생한 ASF 바이러스는 차량과 사람에 의해 농가로 전파될 수 있기 때문에 통제를 강화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김성배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