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디지털 금융허브 추진해야"

2021-04-05 10:58:04 게재

금융연구원, 포스트팬데믹

디지털금융 정책과제 제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국가간 금융혁신 경쟁에서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해 '아시아 디지털 금융허브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금융연구원은 최근 '포스트팬데믹 시대를 대비한 디지털금융 정책 방향'이라는 보고서에서 "우리나라는 ICT 인프라가 우수하고 데이터 활용 환경도 빠르게 개선되고 있는데, 국내 핀테크 기업 육성을 넘어 국제적 위상을 제고해야 한다"고 밝혔다.

금융연구원은 "서울의 글로벌 금융센터로서 기능이 최근까지 하락세를 보였고, 외국계 금융기관의 국내 순유입도 수년째 정체 수준을 보이고 있다"면서 아시아 디지털 금융허브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실제로 서울의 금융허브로서 기능과 입지 등을 종합한 글로벌 순위는 지난해 25위에 머물러 2017년(22위)보다 오히려 후퇴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계 금융기관의 점포 수도 지난해 165개로 2017년(165개)과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를 작성한 서정호 선임연구위원은 금융허브 전략을 위해 과감한 금융 테스트베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아시아 각국과 협약을 통해 상대 국가에서 샌드박스를 통과한 서비스의 국내 출시를 우선 허용하는 방식이다. 복수의 '디지털 금융특구' 지정도 검토할 수 있다고 했다. 지정한 특구에서는 세제혜택을 확대하고, 일정한 요건이 충족되면 지적재산권이나 데이터 등 유무형의 자산을 '토큰화'해 다양한 자금조달이 가능하도록 금융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서 선임연구위원은 또 해외 핀테크 기업을 적극 유치하고, 외국의 핀테크 지원 기관과도 네트워크를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이를 위해 매년 개최하는 '코리아 핀테크 주간' 행사를 아시아 국가들과 공동으로 주최하고 국제적 행사로 격상시킬 필요성이 있다고 했다.

핀테크 기업에 대한 지원체계를 고도화할 필요성도 제기했다. 현재 서울시 등 지자체와 한국핀테크지원센터, 한국성장금융 등으로 분산된 지원체계의 컨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자금지원과 법률 및 세제, 경영컨설팅 등 맞춤형 지원체계를 일관성있게 정비할 것을 주문했다.

서 선임연구위원은 "싱가포르는 팬데믹으로 핀테크의 중요성이 커지자 지난해 정책자금 지원을 대폭 확대하면서 9개 분야로 세분화해 집행하고 있다"면서 "핀테크 기업의 생애주기에 맞춘 정교한 지원체계가 필요하다"고 했다.
백만호 기자 hopebaik@naeil.com
백만호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