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공행진 물가’ 총선 흐름 뒤바꿀 변수로 급부상

2024-03-18 13:00:03 게재

대통령 국정평가 부정요인 1위 경제·민생·물가

경제 나아진다는데 생활은 더 팍팍, 박탈감 커져

4·10 총선을 앞두고 ‘물가’가 총선 민심을 가를 핵심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이후 안정을 찾던 물가가 최근 다시 오름세로 돌아선 탓이다. 반도체산업과 수출 등 경기지표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상대적 박탈감까지 키우고 있다. 특히 서민생활과 직결된 먹거리 등 장바구니물가는 비상이다.

문제는 당분간 물가 오름세가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폭등 주범'인 사과 등 과일 가격은 수확기인 가을까지는 가격안정이 요원하다. 휘발유 가격의 선행지표인 국제유가도 오름세다. 그동안 눌러왔던 공공요금도 현실화될 수밖에 없어 향후 물가 전망에 불확실성만 쌓이는 형국이다. 상반기 중 기준금리 인하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물가마저 서민들의 삶을 짓누르고 있는 셈이다.

◆문제는 경제다 = 더불어민주당의 공천논란 이후 여당이 크게 앞섰던 여론조사 흐름이 바뀌고 있다. 일부 여론조사에서는 야권 지지율이 여당을 앞서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지난 15일 공개된 한국갤럽 자체 여론조사 결과 국민의힘 정당 지지도는 37%로 더불어민주당(32%)과 조국혁신당(7%)의 합산(39%)에 비해 오차범위(±3.1%) 내에서 역전 당했다. 조국혁신당은 지난주 6%, 이번주 1%p 오른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난주 조사에선 국민의힘과 야권의 합산이 동률을 이뤘다. 특히 국민의힘은 지난 2월말 조사에서 지지도 40%로 정점을 찍은 뒤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정치권과 여론조사 기관은 국민의힘의 ‘막말과 폄훼 발언’ 논란에 대해 늑장 대응으로 일관하면서 여론지형이 바뀌었다고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고물가와 실질소득 감소, 내수 불황에 따른 ‘정권 책임론’이 근본적 이유라는 분석도 만만치 않다.

실제 18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3월 둘째 주(12~14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2명에게 ‘윤석열 대통령이 현재 대통령으로서의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 잘못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를 물었더니 부정평가가 압도적이었다. 36%만 긍정평가 57%는 부정평가했다.

주목할 점은 부정평가 이유로 ‘경제·민생·물가’를 거론하는 응답자가 16%로 가장 많았다는 점이다. 통상 윤 대통령의 단점으로 거론되던 ‘독단적·일방적’, ‘소통 미흡’은 9%에 머물렀다. 올해 전체적으로 봐도 ‘경제·민생·물가’는 부정평가 비중 중 16~19%를 기록하며 한번도 1위를 놓치지 않았다. 물가와 민생이 3주 남은 총선의 승패를 가를 최대변수로 떠오르고 있는 셈이다.

◆장바구니물가, 어느 정도이기에 = 실제 장바구니 물가는 ‘악소리’가 날만하다.

1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2월 상승률이 3.4%에 그쳤던 신선식품지수는 지난 2월 전년 같은 기관과 비교해 20.0% 올랐다. 신선식품지수의 상승폭은 지난해 7월 2.2%로 저점을 찍은 뒤 8월 6.6%, 9월 7.6%를 기록했고 10월 13.3%로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이어 11월 13.7%, 12월 14.5%, 올해 1월 14.4%로 조사된 뒤 지난달 20%대로 올라섰다.

신선식품지수가 20%대를 기록한 건 2020년 9월(20.2%) 이후 3년5개월 만이었다. 신선식품지수는 신선채소, 신선과실 등 기상조건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5개 품목으로 작성된다. 특히 이 중 신선과실은 41.2% 올라 1991년 9월(43.9%) 이후 32년 5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으며 오름세를 견인했다. 지난해 2월 신선과실의 상승폭은 –3.4%로 오히려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국제유가 흐름도 물가에 악재로 떠오른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월 두바이유는 배럴당 80.9달러로 지난해 11월(83.6달러) 이후 3개월 만에 80달러대로 오르는 등 상승추세다. 국제유가가 국내 휘발유 가격에 반영되는 데 통상 2~3주 정도 걸린다. 총선 당일까지는 오름세가 불가피하다는 얘기다.

하반기 물가의 복병은 공공요금이다. 2월 공공서비스 물가는 2.0% 상승하며 1월(2.2%)에 이어 두 달 연속 2%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1월과 2월 공공서비스 물가 상승폭은 각각 0.7%, 0.8%에 그친 것과 다른 흐름이다. 지난달에는 특히 시내버스료(11.7%), 택시료(13.0%), 도시철도료(10.9%) 등이 두 자릿수 상승폭을 기록했다. 서울시가 7월 지하철요금 150원을 인상하기로 예고하는 등 총선 이후 공공요금이 현실화하는 점도 서민들에게 부담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최근 물가흐름을 면밀히 살피면서 정부가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면서도 “고물가의 주요 원인이 작년 작황(과일 등)이거나 국제상황(유가 등)이어서 정책대응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토로했다.

성홍식 기자 king@naeil.com

성홍식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