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연구' 발전시키면 정책된다

2018-05-15 10:23:32 게재

목표 뚜렷한 주제 정해야

"젠트리피케이션 문제는 정책연구기관에서 다루기 까다로운 주제입니다. 정책이나 제도로 대응할 부분을 찾아내야 하는데 사실 그동안 다 나왔던 얘기거든요."

김상일 서울연구원 도시연구실장은 이른바 둥지내몰림 현상(젠트리피케이션) 연구를 진행했던 2015년을 돌이키며 "관련 연구와 보고서가 많이 올라왔다"고 말했다. 둥지내몰림 현장에서 해법을 모색하던 시민들의 '작은연구'가 쏟아져나오던 참이었다.

김 실장은 "세입자들이 내몰리는 현상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연구들이었다"며 "주민 공동체 자율적 움직임에 기대는 소박한 시도들에 정책화해야겠다는 용기를 얻었다"고 말했다. 그렇게 '서울시 주요 상업가로의 젠트리피케이션 실태조사 및 정책적 개입 모색' 연구보고서가 탄생했다. 그해 말 서울시도 둥지내몰림 대책을 발표했다.

서울시민들의 작은연구는 활동보고서나 정책건의보고서에 그치지 않는다. 시민들이 발빠르게 포착해낸 현장의 움직임은 전문가 연구를 통해 한걸음 진전된다. 김상일 실장에 자극을 주었던 작은연구는 2013년과 2014년 서울연구원에서 지원했던 '서울시 문화공간의 담론적 구성 : 홍대 공간을 중심으로' '서울의 새로운 도시재생 정책에 따른 젠트리피케이션 현황과 대안' 등이다.

한해 전에는 유기영 연구위원이 '불용자재를 활용한 건자재뱅크의 활용 가능성 분석'에 전문성을 더해 '건자재뱅크 도입방안 연구' 보고서를 내놨다. 지난해 백선혜 연구위원은 '폐지수집 여성노인의 일과 삶' '빈곤한 도시노인과 지역 내 자원의 흐름'에서 착안, '고령화 시대에 대응하는 서울형 지역사회전략 연구'를 펴냈다.

서울연구원은 서울시 관련 부서에서 연구결과를 정책개발에 참고하도록 전달하고 있기도 하다. 김상일 실장은 "작은연구에서 주제를 발굴해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다"며 "지역사회 내 여러 문제 해결을 원하는 활동가나 시민들과 협업하는 학자들이 많이 참여한다면 연구원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왕진 서울연구원장도 "시민들 요구를 잘 받아내면 연구의 질이 높아진다"며 "적극적인 의지를 가진 시민, 적극적으로 자신의 요구를 표출하는 시민들이 작은연구에 참여하는 만큼 중요한 정책 지표도 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시민이 연구원" 작은 연구로 서울 바꾼다
[인터뷰│서왕진 서울연구원장] "연구에 현장성 불어넣어 상생효과"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김진명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