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금융, 취약계층 지원하는 대안금융 가능"

2019-12-11 10:59:27 게재

기존 금융시스템 틈새시장 공략

서민금융연구원 '금융소외' 포럼

중국 알리바바는 2015년부터 개인과 중소기업, 소상공인 등 고객들의 신용을 점수화한 지마신용(참깨신용)이라는 신용평가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지표항목에는 각 고객의 결제내역과 학력과 경력, 자가용·주택 등 자산보유상황, 인간관계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지마신용의 분석을 기초로 신용도를 평가해 소액대출과 금융리스, 자동차 렌트, 숙박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알리바바 산하의 '마이진푸금융'은 이같은 정보를 토대로 소액대출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난 5년간 부실율은 1% 내외에 그쳤다.

기존 금융권의 대출시스템에서 벗어나 금융취약계층에게 새로운 대안금융의 가능성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서민금융연구원은 10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관에서 '온라인투자연계금융(P2P)의 건전한 발전방향'을 주제로 금융소외계층을 위한 P2P금융의 역할을 강조한 포럼을 개최했다. 사진 서민금융연구원 제공


서민금융연구원(원장 조성목)이 10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관에서 개최한 '온라인투자연계금융(P2P)의 건전한 발전방향' 포럼에서는 알리바바와 같은 해외 사례를 비롯해 다양한 'P2P의 서민금융지원 방안과 과제'들이 논의됐다.

주제발표를 맡은 서강대 기술경영대학원장인 정유신 교수(핀테크지원센터장)는 "알리바바는 다양한 신용정보를 수요공급자에게 연결함으로써 신용정보가 핵심인 P2P상품을 포함한 공유경제 등에 기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P2P금융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비롯한 취약계층의 대안금융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제1금융권(은행) 대출심사에서 거절당한 금융이력이 부족한 20대 청년들을 대상으로 연간 5.5%의 금리로 P2P대출을 진행하는 국내업체인 '크레파스'와 금융취약계층의 데이터를 P2P를 통해 확보해 평가하는 해외 신용평가사인 엑스페리안 등의 사례도 언급했다.



크레파스는 글로벌 빅데이터 전문기업인 렌도와 함께 대안평가제도를 개발·적용해 신용등급 5~6등급에 해당하는 고객 중 우수 성향 사용자 5000여명에게 추가대출을 승인해주기도 했다.

P2P금융은 기존 금융시스템의 틀을 벗어나 투자자와 자금수요자를 연결시켜주는 온라인상의 대출서비스를 말한다. 세계적으로 시장 비중은 소비자대출, 사업자대출, 부동산대출 등의 순이다.

투자자에게는 높은 투자수익(은행상품보다 높은 수익 가능)과 편리성(스마트폰 등으로 투자), 투자접근성(소액투자 가능), 대출자에게는 낮은 대출금리, 재무상태개선(고금리 대출 대환 등) 등의 장점이 있다. 하지만 사기위험(온라인, 비대면)과 채무불이행(담보없어 투자금 회수 어려움), 플랫폼 위험(P2P업자의 부도발생) 등의 투자자 위험이 크다는 게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 때문에 투자자보호를 위한 온라인투자연계금융(P2P) 법안이 마련됐고 올해 10월말 국회를 통과, 내년 8월 27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P2P금융업을 하기 위해서는 금융위원회에 등록해야 하고 거래구조와 재무·경영현황, 대출규모, 연체율 등의 공시의무가 발생한다. 금리·수수료는 법정 최고금리 범위 내에서 정해야 하며 대주주 등에 대한 연계대출과 만기불일치 등이 금지된다. 또한 금융당국에 의해 검사와 감독을 받아야 한다.

정 교수는 P2P금융이 활성화되면 "고신용자(은행대출)와 중·저신용자(2금융권 대출)간의 금리절벽 해소와 중금리대출 대상의 확대로 포용적 금융에 대한 기여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강조했다.

국내 P2P업체인 '8퍼센트'의 경우 중신용자(4~7등급)의 평균 대출금리가 연 10% 안팎으로 저축은행(연 20% 안팎), 카드론(연10% 초중반), 캐피탈(연 10% 중후부반)과 비교해 낮다. 미국의 P2P업체인 랜딩클럽의 경우 중·저신용자의 일반 신용대출이 감소하고 P2P대출액이 급격히 증가했다. 중신용자에 대한 P2P대출금리가 카드대출금리보다 낮기 때문이다.

정 교수는 P2P금융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자금애로를 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P2P를 통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대출상품의 만기는 1년 금리는 연 10%, 조달규모는 2000만~2억원"이라며 "은행 대출을 받기 힘든 업체라도 매출 등의 재무상황과 특히 현금흐름에 따라 대출여부가 결정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P2P금융이 투자자의 신뢰를 쌓기 위해 대출·상환·투자 등 모든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P2P 금융 플랫폼 업체인 지퍼(ZPER)는 P2P업체들의 모든 채권을 블록체인 상에 올려서 채권정보와 상환내역, 연체율과 부실율 등을 투명하게 관리하고 있다.

정 교수는 "P2P금융은 신용대출 상품을 중심으로 태동했지만 최근에는 PF대출과 부동산 담보의 비중이 높아진 상황"이라며 "부동산 연계 P2P의 위험을 관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성목 서민금융연구원장은 "P2P금융업은 플랫폼의 구조와 시행설계에 따라 기존 금융기관이 초래한 금융소외 문제를 해소할 하나의 대안이 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며 "대안신용평가시스템과의 접목이나 중금리대출 영역 등에서 보완적 서민금융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유광열 금감원 수석부원장은 "신규 창업자, 영세 소상공인, 저신용·저소득자 등 기존 금융회사에서 대출이 어려운 서민들이 P2P대출을 통해 필요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금융에 대한 보편적 접근권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경기 기자 cellin@naeil.com
이경기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