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대 기업 부채비율·회전율 악화

2020-12-18 11:03:10 게재

한경연, 3분기 누적 경영실적 분석

부채비율 70.5% 5년내 가장 높아

이자보상비율, 지난해보다 개선돼

삼성전자 제외시 모든 지표 나빠져

매출 상위 100대 상장기업 부채비율과 회전율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비율은 최근 5년중 가장 높았고 총자산회전율과 매출채권회전율은 10년 동안 가장 낮았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기침체가 기업의 안정성과 활동성 지표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자본 10조 는 반면 부채는 37조원 증가 = 18일 내일신문이 한국경제연구원과 공동으로 100대 상장기업 3분기(누적) 별도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다. 이들 기업 부채비율은 70.5%였다. 지난해 66.25%뿐 아니라 2015년 73.95%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부채비율은 부채총계를 자기자본으로 나눈 값으로 수치가 클수록 기업 안정성이 나빠졌음을 나타낸다.

이들 기업 3분기 부채총계는 501조9100억원에 달했다. 지난해 464조7200원보다 37조원 증가했다. 반면 자기자본은 올해 711조9500억원으로 지난해 701조4600억원보다 10조4900억원 증가하는데 그쳐 부채비율이 악화됐다. 기업들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유동성 위기에 대비하기 위해 장단기 차입금을 늘린 때문으로 보인다.

기업의 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은 131.97%로 지난해 134.4%보다 악화됐다. 기업이 보유한 자산으로 매출액을 얼마나 창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총자산회전율은 3분기 누적 기준 0.48을 기록했다. 이는 최근 10년 동안 가장 낮은 수치다. 지난해 0.52였다. 매출채권회전율도 5.45로 최근 10년 동안 최저치다. 지난해는 5.59였다. 매출채권회전율은 매출채권 즉 외상값이 현금으로 회수되는 속도다.

올해 기업들의 경영활동 위축이 두드러졌음을 알 수 있다. 다만 3분기 영업실적 호전으로 영업이익이 늘면서 이자보상비율은 개선됐다. 재고자산회전율도 지난해에 비해 나아졌다.

이들 기업 이자보상비율(3분기 누적)은 608.49로 지난해 486.15에 비해 크게 개선됐다. 이자보상비율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으로 영업으로 벌어들인 수익으로 이자비용을 얼마만큼 감당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기업의 채무상환능력을 알 수 있다. 영업이익 총합은 30조2300억원으로 지난해 25조1390억원보다 5조910억원 증가했다. 반면 이자비용은 6조1190억원으로 지난해 6조3500억원보다 2310억원 감소했다.

재고자산회전율도 지난해에 비해 개선됐다. 3분기 누적 재고자산회전율은 9.24로 지난해 9.04보다 나아졌다. 매출액을 재고자산으로 나눈 값인 재고자산회전율은 재고자산이 매출액으로 전환되는 정도를 나타낸다. 지난해보다 지표가 호전됐지만 이는 지난해 기저효과로 해석된다. 지난해와 올해 재고자산회전율은 2010년 이후 최하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년에 비해 제품이 시장에서 판매되지 않고 창고에 머물러 있는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는 의미다.

◆삼성전자 실적 의존 두드러져 = 100대 상장기업 실적에서 삼성전자를 제외한 나머지 99개사 안정성과 활동성 지표는 지난해에 비해 눈에 띄게 악화됐다.

삼성전자 1개사의 실적이 다른 기업에 비해 월등하기 때문에 전체 지표에 착시현상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삼성전자를 제외한 99개사 이자보상비율은 3분기 누적 기준 381.82%다. 지난해 359.1%보다 높다. 하지만 격차가 크지 않다. 삼성전자를 포함한 100대 기업 이자보상비율은 608%대 486%로 차이가 많이 났다. 100대 기업 재고자산회전율은 지난해에 비해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삼성전자를 뺀 99개사 재고자산회전율은 지난해보다 더 나빠졌다. 최근 10년 동안 가장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3분기 누적 재고자산회전율은 9.02로 지난해 9.11보다 악화됐다.

홍성일 한경연 경제정책팀장은 "코로나19 장기화 등 불확실성에 대비해 기업들이 차입을 통한 현금 확보에 주력하고 있고 3분기까지 지속된 매출 부진으로 삼성전자를 제외하면 기업 활동성 지표가 모두 눈에 띄게 악화됐다"며 "기업 재무구조와 경영환경 개선을 위한 지속적 다각적인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범현주 기자 hjbeom@naeil.com
범현주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