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EU 등 기후변화적응대책 패러다임 전환

2022-07-18 11:11:10 게재

분야별 시급성 평가 체계 도입

전세계적인 기상이변으로 인해 경제적 피해가 커지는 가운데 국가 기후변화 적응 대책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일찍 국가 단위의 기후변화 적응 대책을 수립한 국가 중 하나다. 하지만 좀 더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분야별 적응 '시급성'을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온실가스 감축 못지 않게 기후변화적응대책이 중요하다. 사전에 어떻게 대응하냐에 따라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 정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사진은 지난해 8월 태풍 '오마이스'와 저기압에 따른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경북 포항시 북구 죽장면 한 하천의 모습. 포항=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13일 정휘철 한국환경연구원 국가위기적응센터 선임연구위원은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서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등 각 영역별로 많은 정책을 내놓고 관련 업무를 해오고 있다"며 "우리는 취약계층이 제일 위험하다는 등 기본적인 위험 시그널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는데 현 시점에서는 좀 더 진일보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미 세운 전략이 무엇이 부족하고 앞으로 커질 기후위기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에 대응이 충분하지 않은지에 대해 원인을 파악한 뒤 새롭게 비전을 세울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영국이나 유럽연합(EU) 등도 최근 기후변화적응 대책을 재평가해 보완한 바 있다.

적응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 온실가스 감축은 물론 앞으로 달라지는 환경에 맞춰가는 걸 말한다. 그린인프라도 이러한 적응 대책의 일환이다. <내일신문 7월 4일자 '폭염과 그린인프라' 기획물 참조>

◆세계 10대 리스크중 1위 '기후 대응 실패' = 지난 1월 세계경제포럼(WEF)이 발표한 '2022 글로벌 리스크 보고서'(Global Risk Report 2022)에 따르면 향후 10년간 세계가 당면할 10대 리스크 중 1위가 '기후 대응 실패'였다. 2018년에는 5위였다. 그만큼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기후위기의 심각성이 커지고 있다는 뜻이다. 이 보고서는 124개국 정치·경제·사회 등 각 분야 전문가 1000여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

실제로 기상이변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는 시간이 흐를수록 커지고 있다. 국제재해경감기구 자료에 따르면 자연재해로 인한 전지구적 경제적 손실은 연간 140억~1400억달러 수준(1985~2017년)이다. 2017년 경제적 손실액은 1440억달러로 추산됐다.

문제는 이러한 손실이 직접적인 인명·시설피해에 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WEF에 따르면 기상이변으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는 유관산업에 연쇄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세계 국내총생산(GDP) 50%가 기후변화로 인해 영향을 받았다.

◆효율적 자원 배분으로 취약계층 보호 =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탄소 저감은 물론 지속적인 적응능력 강화가 필요하다. 2008년 기후변화법을 제정한 영국은 기후변화 적응 방법 중 하나로 기후변화에 관한 리스크 평가(CCRA)를 운용 중이다. 2017년에는 3단계 시급성 평가(위험과 기회 평가→적응평가→적응강화)라는 새로운 제도를 도입했다. 지난해에는 좀 더 강화(평가항목 10개 추가 등)한 3단계 시급성 평가체계를 선보였다.

EU 역시 지난해 'EU 기후적응 전략 2021'을 발표하면서 △전반적인 적응 속도 향상 △기후탄력성을 국가 재무구조에 통합 △'Climate-ADAPT' 적응 플랫폼 발전 등을 강조했다.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을 통해 기후위기 취약계층이나 지역 등에 적응 대책이 먼저 집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게 주요 내용이다.

[관련기사]
[이상기후와 수퍼태풍] 인간이 만든 지구온난화 … 더 강한 태풍이 온다
한반도 태풍위험 확률 증가
온난화가 되면 왜 태풍이 강해질까?

김아영 기자 aykim@naeil.com
김아영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