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대표정책 │사회적경제 혁신 프로젝트

로컬푸드 확장판 '소셜 굿즈'

2018-02-07 10:08:17 게재

군민 30% 사회적경제 참여

지역 자립도 50% 목표

'농업과 가공산업, 교육과 복지를 지역 내 사회적 경제시스템으로 해결해 지역자립도를 높인 도시.'

이탈리아 트렌티노 등 협동조합을 근간으로 운영되는 이상적인 지역모델이다. '로컬푸드'의 도시 완주군이 100년 플랜으로 삼고 있는 모습이기도 하다. 완주군은 2025년까지 부문별 사회적경제 조직을 기반으로 지역자립과 순환경제를 완성하는 '완주 소셜굿즈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300여개에 이를 사회적경제 조직을 체계적으로 육성해 복지 의료 교육 문화 등 사회서비스 부문을 자체적으로 해결하는 구상이다. 300개의 자립형 사회적경제 조직 안에서 500개의 일자리를 만들어 500억원의 소득을 만들어 내는 방안이다. 군민의 30% 이상이 사회적경제조직에 참여하는 협동경제도시의 기반을 갖추겠다는 발상이다.

'먹거리 혁명'의 단초를 만든 로컬푸드 성공사례가 있기에 허투루 들리지 않는다. 이미 3000여 농가가 로컬푸드 시스템에 참여하고 있고 연간 600억원 수준의 소득을 올리고 있다. 지역경제 먹거리 시장의 30% 수준을 로컬푸드로 충당하고 있다. 민관협력으로 출발한 직매장 조직은 협동조합을 통해 자립, 100명을 고용해 연간 300억원의 매출도 기록하고 있다.

나영삼 완주군 사회경제혁신정책관은 "로컬푸드는 중소농의 소득안정·건강한 먹거리와 농촌 활성화 지원·민관협력 등 3박자가 조화를 이뤄 얻어낸 성과"라고 말했다.

'포스트 로컬푸드' 전략의 일환이다. 완주군엔 60세 이상의 노인들이 쌈채소를 생산하는 두레공동체, 한우를 키워 직매장에서 판매하는 '한우협동조합' 등 314개의 사회적경제 조직이 활동하고 있다. 이 조직을 씨줄과 날줄로 촘촘히 연결해 지역경제시스템으로 운영한다는 것이다. 우선은 먹거리와 에너지,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먼저 시작할 계획이다.

박성일 완주군수는 "지역사회의 힘으로 경제 생활 복지 문화 환경 등의 과제를 해결하고 또 재생산하는 구조를 갖추는 노력"이라며 "사회적경제도 완주가 하면 다르다는 점을 확실하게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신년기획│다산에게 길을 묻다│전북 완주군 '교통복지·로컬푸드' 제8회 다산목민대상 수상] 오지에 행복 실어나른 '500원 택시'
[인터뷰 │박성일 전북 완주군수] "100에서 1을 빼면 99 아닌 0"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이명환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