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혁명' 용어 사용 거부감 늘었다

2019-10-10 11:24:15 게재

2017년 28.0%→19년 46.2%

중도층도 26.9%→46.4%

3년전 촛불집회는 혁명인가? 문재인정부는 3년 전 촛불집회를 시민혁명으로 규정했고, 자신들은 '촛불혁명으로 탄생한 정부'라고 자부했다. 하지만 국민들 중에는 '촛불혁명'이라는 용어 사용에 거부감을 갖는 사람들이 상당수 존재했다. 이 비율은 3년이 다되어가는 지금 훨씬 늘어났다.

내일신문과 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의 2017년 11월 촛불 1주년 조사 당시 '촛불혁명'이라는 용어사용에 동의하지 않는 국민은 28.0%였다.('촛불집회를 촛불혁명이라는 명칭으로 사용하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라는 질문에 대한 동의·비동의 여부) 이 비율은 이번 조사에서는 46.2%로 18.2%p 늘었다.


이념적 분포로 보면 내부적 결이 좀더 분명하게 드러난다. 보수층의 '촛불혁명' 용어사용에 대한 비동의 비율 증가(2017년 42.8%에서 2019년 67.6%)는 당연하게 보이지만, 중도층에서도 비동의 비율이 26.9%에서 46.4%로 19.5%p나 늘어난 것이다. 진보층에서도 16.5%에서 23.7%로 7.2%p 상승했다.

국민 대다수가 촛불항쟁과 박근혜탄핵에 동의했던 당시에는 '혁명'이라는 개념에 대한 거부감이 적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 더 냉정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의미다.

여기에 '촛불혁명정부'를 표방한 문재인정부에 대한 실망감이 '혁명'이라는 용어를 받아들이는 데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물론 당시 촛불항쟁 참여자들 가운데 62.8%는 여전히 '촛불혁명' 용어사용에 동의하고 있었다. 비참여자들의 동의비율은 35.7%였다.

이와 관련, 이지호 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 선임 연구위원은 "역사적 사건에 대한 명칭은 국민들 사이에는 다를 수 있지만 정부의 명칭 사용은 조심스러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2016~17년 촛불항쟁이 특정 정파의 투쟁이 아닌 국민 모두가 공감하고 기억하는 사건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어떻게 조사했나]
본 조사는 내일신문 창간기념으로 '촛불 3주년'을 맞이한 한국사회를 진단해보기 위해 기획되었으며, 내일신문-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가 공동으로 기획하고 한국리서치가 조사를 수행했다.

조사방법은 유무선 혼합 임의전화걸기(RDD)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CATI)였다. 조사 표본은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현황' 2019년 9월 기준 성별/연령별/지역별 인구구성비에 따라 비례 할당한 후 무작위 추출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조사는 2019년 9월 26일부터 10월 2일까지 진행되었으며, 표본은 1200명으로 조사의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8%p였고, 응답율은 14.4% (유선 9.1%, 무선 16.6%)였다.

2019년 창간기념조사 일부 문항은 내일신문-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 2017년 신년기획조사와 2017년 11월 '촛불 1주년'기념 기획조사와 비교·분석되었는데, 2017년 신년조사는 2016년 12월 26일부터 28일까지 한국리서치가 조사를 진행했고 표본은 1200명이었으며, 2017년 '촛불 1주년'기획조사는 ㈜서베이몹이 조사를 진행했고 표본은 1098명이었다.

[관련기사]
한국 민주주의 나아졌으나 정치권은 후퇴
[내일신문 창간26주년 기획 | 촛불 3년, 한국사회를 어떻게 바꿨나] 민주주의 지지, 촛불 때만큼 강하다
촛불 경험, 여전히 한국사회 가른다
10명 중 7명 "탄핵 적절했다"
[내일신문 창간26주년 기획 | 촛불 3년, 한국사회를 어떻게 바꿨나-정치권과 촛불 - 민주당·한국당에 끼친 영향] 촛불민심 수용할 집권능력 못 보여
탄핵 후 3년, 멈춰선 '한국당 시계'
[대통령 국정지지도 논란에 대하여] 조사 방식 달라 단순비교는 곤란
'잘 모르겠다' 문항 없는 국정지지도 조사의 비밀

[내일신문 창간26주년 기획] 촛불 3년, 한국사회를 어떻게 바꿨나 연재기사

남봉우 기자 bawoo@naeil.com
남봉우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