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정부? 촛불정신 잘 반영할 때 가능한 명칭

2021-10-08 11:20:54 게재

반영 못하면 촛불정부 부르는데 반대

MZ세대 절반만 "문정부는 촛불정부"

2016년∼2017년 촛불집회를 '촛불혁명'으로, 문재인정부를 '촛불정부'로 부르는데 대한 집회 참가자의 의견을 들어봤다.

2019년 조사에서 촛불혁명이란 호칭에 대한 동의(매우 동의+동의하는 편)는 79.5%에 달했다. 2년 뒤인 2021년에는 69.6%로 9.9%p 하락했다. '매우 동의한다'는 응답은 2019년 45.9%에서 2021년 28.6%로 크게 떨어졌다. 촛불혁명에 대한 동의가 전체적으로 줄었고 강도도 약해진 것이다. 다만 여전히 '동의'가 70%대에 육박해 촛불혁명이란 호칭에 대한 호응도는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문재인정부를 촛불집회의 상징성을 가진 촛불정부라고 보는지에 대해선 63.4%가 동의했다. 2년전 72.8%에 비해선 9.4%p 줄었지만 여전히 과반을 훨씬 넘는 수준이다.

다만 세대별로는 시각이 달랐다. 이번 조사에서 40대 이상의 참가자들은 80% 이상이 문재인정부를 촛불정부라고 부르는데 찬성했다. 2년전 조사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에 비해 20대는 2년전에는 찬성이 61.9%였지만 올해 조사에서는 42.7%로 19.2%p 급락했다. 30대도 63.6%에서 53.9%로 9.7%p 하락했다.

이현우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MZ세대에서 문재인정부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이 촛불정부라는 명칭 사용에 있어서도 부정적 입장으로 반영돼 나타났다"고 말했다.

문재인정부를 촛불정부라고 부르는 것을 반대하는 이유는 문재인정부가 촛불집회 취지를 국정에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평가와 맞물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재인정부가 국정운영에 촛불정신의 취지를 반영한다'고 응답한 참가자들은 촛불정부 명칭에 대해 찬성(84.6%)이 반대(15.4%)를 압도했다. 반면 '문재인정부가 국정운영에 촛불정신의 취지를 반영하지 않는다'고 답한 참가자들은 반대(61.5%)가 찬성(38.5%)보다 월등히 많았다. 이같은 답변은 2019년 조사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 교수는 "촛불정부라는 명칭은 촛불집회 덕분에 출범한 정부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촛불집회가 요구한 취지를 국정에 제대로 구현할 때만 부여받을 수 있는 명칭이라는 의미"이라고 설명했다.


촛불집회 참가자 추적조사 어떻게 이뤄졌나

내일신문-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는 2016년 11월 26일 광화문 촛불집회 현장조사를 실시했고, 당일 2058명의 집회 참여자들에게 설문을 받았다. 후속조사를 위해 개인 연락처 제공에 동의하는 참여자에 한해 총 990명으로부터 연락처를 받았으며, 이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추적조사를 실시했다. 2017년 1년차 조사 응답자는 424명, 2019년 3년차 조사 응답자는 405명, 2021년 5년차 조사 응답자는 454명이었다.

2021년 5년차 추적조사 응답자 중 53.7%는 2017년과 2019년에도 응답한 집단인 반면 19.8%는 2017년과 2019년에는 응답하지 않은 집단으로 현장조사 이후 5년차 조사에 처음 응답한 참여자들이었다. 2017년과 2019년에는 응답하지 않았다가 2021년에 새로 응답한 90명의 참여자들이 이념, 세대, 성별, 참여회수 등에서 특별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했지만, 분석결과 5년차 조사 응답자들의 특성은 1년차·3년차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전반적으로 연속적인 성격을 나타냈다.

성별 응답자 구성에서는 2017년에 여성이 약간 많았고 2019년과 2021년에 남성이 약간 많았으나 편차는 모두 5%p 이내였다. 참여 횟수를 보면 2021년 응답자는 2017년이나 2019년에 비해 '1회 참가자'가 늘어났고 5회 이상 참가자는 큰 변화가 없었다. '4회' 참가 응답자가 줄어든 것은 1번, 3번, 5번이 기억하기 쉬운 횟수인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1년, 3년, 5년차 응답자의 이념 구성을 보면, 2021년 진보층이 2019년 대비 4.6%p 줄어들고 보수층이 4.0%p 늘었으나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연령 구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1년, 3년, 5년차에 이를수록 20대 이하 연령층의 응답이 줄어들고 있는데 이는 5년여의 시간 경과에 따라 10대 중후반 연령층의 20대 진입 효과가 있고 정치상황 효과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30∼40대 연령층 비중은 큰 차이가 없는 반면 50대와 60대 이상 연령층에서는 증가세가 확인된다. 역시 시간 경과에 따라 40대의 50대 유입, 50대의 60대 유입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 기획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 수수료를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

[관련기사]
[내일신문 창간28주년 기획 | 촛불5년, 한국사회를 어떻게 바꿨나] "촛불 미완성은 문정부 능력·의지부족 때문"
[내일신문 창간28주년 기획 | 촛불5년, 한국사회를 어떻게 바꿨나] 촛불 5년, 국민 자긍심 여전히 높다 … '민주의식 높였다' 공감
문재인정부 평가 따라 긍지 강도 변화
[기고] 촛불의 기록을 담아야 하는 이유

엄경용 기자 rabbit@naeil.com
엄경용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