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시평

챗GPT 시대 도래와 중국의 선택

2023-04-13 12:00:17 게재
이창열 한국통일외교협회 부회장, 중국사회과학원 경제학 박사

인터넷에 버금가는 변혁을 예고하는 챗GPT가 미중 경제전쟁의 미래를 엿보는 새로운 잣대가 되고 있다. 중국 로봇청소기의 탁월한 성능을 보며 제조대국 중국의 저력을 절감했는데 챗GPT의 등장으로 미중간 산업경쟁의 구도가 요동치는 느낌이다.

중국의 로봇청소기는 중국 제조업의 발전을 체감하게 했다. 한국 가전제품이 인력과 시장의 한계로 인해 주력제품에 집중하는 반면 중국은 방대한 인적자원과 거대한 시장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우수한 제품을 내놓고 있다. 먼지청소를 넘어 세제 물청소에 열풍건조까지 하는 기능을 보며 '대륙의 실수'로 치부하던 중국제품을 괄목상대하게 되었다. 맞벌이 세대의 청소시간을 덜어주고 노년의 힘든 노동도 대신하는 로봇청소기가 건조기 식기세척기를 포함한 '3대 이모'중 가장 각광을 받을 것이라는 평가까지 있었다.

이런 가운데 등장한 챗GPT는 중국의 산업경쟁력에 그림자를 드리운다. 챗GPT의 모태인 인공지능(AI)은 군사적 목적까지 가미되어 미중이 각축을 다투어왔다. 중국은 국가가 AI 발전을 주도하면서 자율자동차 물류자동화 안면인식기술 등에 큰 진전을 이루었고 AI 기술 특허건수도 미국을 능가했다. 미국은 민간 주도의 AI 기술 발전을 추진했고 민간이 주목한 챗봇의 특허에서 미국이 43%로 1위, 중국이 20%로 2위를 차지하면서 챗GPT 시대를 선점했다.

인터넷 만리방화벽 유지되는 한 효율 떨어져

챗GPT의 파급효과는 갈수록 커질 것 같다. 개인이 원하는 정보를 수집 분석 정리해 깔끔하게 제공하는 챗GPT는 자료만 나열하던 구글 등 기존 검색기업의 독점적 지위를 위협하고 있다. 개인은 1인 연구소나 스튜디오 운영에 필요한 정보 확보에 챗GPT를 조수로 활용할 것이다. 기업은 챗GPT를 경영에 활용해 인적비용을 절감할 것이다. 정부도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기득이익에 휘둘리지 않는 공정행정의 정착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은 챗GPT의 본질적 속성인 투명성 개방성 문제로 고민하는 듯 하다. 챗GPT는 '열려있는 질문'에 대해 '갇혀있는 정보'가 아닌 '세상의 정보'를 바탕으로 대화를 주고 받는다. 챗GPT에 활용되는 방대한 데이터를 정부의 방침대로 선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기존의 방대한 자료를 사전 학습해(Pre-Trained) 가장 합리적인 결과를 생성(Generative)하는 챗GPT의 답변은 당국 입장과 일치할 수 없다.

AI 역량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중국이 바이두의 어니봇 등 중국판 챗GPT를 발표했으나 공산당에 대한 민감한 질문이 등장하거나 우크라이나전쟁을 당국 방침과 달리 러시아의 침략으로 답변하면서 중지된 이유다. 검색어 통제로 민감한 정보의 유통을 통제하고 검색결과도 당국의 가이드라인에 맞출 수 있었던 중국의 기존 정보관리 틀이 위협받고 있다.

서구에서 축적된 방대한 자료의 활용을 얼마나 허용할 수 있을지도 과제다. 중국 14억 인구의 데이터량이 엄청나지만 획일적 성향이 강한 중국내 데이터의 활용에만 한정될 경우 챗GPT가 수준높은 결과를 내놓기는 힘들다. 외부정보 유입을 통제하는 인터넷 만리방화벽을 지금처럼 유지하는 한 챗GPT의 효율성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

중국은 챗GPT가 초래할 노동시장의 충격도 대비해야 한다. 지식사회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챗GPT는 산업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고등교육층이 두터워야 하지만 중국 노동자 중 고등학교 졸업 비율은 30%대에 머물고 있다. 한국 대만 아일랜드는 중국과 비슷한 발전단계에서 고등학교 수료 비율이 70%대를 넘었다.

공산당 권력유지와 민간 활력진작 사이

중국이 챗GPT에 숙고하는 이유는 '공산당의 권력 유지'와 '민간의 경제활력 진작'이라는 상충되는 목표로 인한 것이다. 아직도 낙후된 분야가 많은 중국의 현실에서 정부가 주도할 영역이 여전히 존재하지만 챗GPT로 대변되는 지식 중심 산업구조로의 전환 시기에는 새로운 시도가 필요하다. 국제통화기금(IMF)이 2022년 중국경제 보고서에서 경제침체를 벗어나기 위해 성장모델의 포괄적 개혁이 필요하다고 한 이유이기도 하다.

챗GPT 시대에는 비판적 사고를 통해 새로운 이슈를 발굴하고 창의적 질문을 하는 것을 허용하는 나라가 우세할 가능성이 높다. "중국이 챗GPT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강구할 것이기에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블랙유머는 중국이 맞이한 상황을 상징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창열 중국사회과학원 경제학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