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증시 회복, 뚜렷한 경기부양책 제시돼야"

2024-01-25 11:29:56 게재

증시안정기금 시기·규모 의구심

지준율 인하보다 후속행보 중요

추락하는 중국·홍콩 증시에 다급해진 중국 정부가 이틀 연속 대규모 증시부양책을 쏟아냈다. 23일(현지시간) 2.3조위안(약 427조원)규모의 증시안정기금 투입 소식에 이어 24일에는 예금지급준비율 인하를 전격 발표했다. 하지만 시장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의 증시부양책에 회의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지금 중국 증시에 필요한 것은 뚜렷한 경기회복 시그널로, 지준율 인하 자체보다는 정책금리 인하, 경제지표 회복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증안기금 투입에 대한 규모와 시기에 대한 의구심도 제기됐다.

◆대규모 부양책에도 상하이 지수 장중 하락 = 24일 중국 증시는 전일 정부의 2조위안 (371조원) 증시 안정 기금 투입 소식으로 오전 상승출발 했지만 장중에는 다시 하락하는 등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장 막판에 지준율 인하 계획이 발표되면서 매수세가 몰려 상하이종합주가지수와 CSI300은 각각 전날보다 1.80%, 1.40% 오르며 장을 마쳤다. 홍콩 증시에서는 항셍지수와 H지수가 각각 3.56%, 4.13% 상승 마감했다.

이날 판궁성 중국인민은행장은 "2월 5일부터 예금 지준율을 0.5%p 내려 시장에 장기 유동성 약 1조위안(약 188조원)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인민은행은 2022년 4월과 12월, 작년 3월과 9월에 지준율을 0.25%p씩 인하한 바 있다. 하지만 인민은행장이 직접 나서 지준율 인하를 예고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지준율 인하 폭도 기존보다 2배로 늘렸다. 중국인민은행은 지난 22일 사실상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를 5개월 연속으로 동결하면서 금리 조정에는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대신 중국 금융당국은 작년부터 지준율과 중기 정책금리 조정 등 정책 도구를 활용해 유동성을 공급해왔다. 이번 지준율 인하 조치로 1분기 정책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다시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는 증시 하방 경직성을 확보하는 데 일조할 것으로 전망한다.

홍록기 키움증권 연구원은 "지준율 인하 자체보다는 당국의 후속 행보가 더욱 중요할 것"이라며 "당국의 후속조치가 미흡하거나, 중국 매크로 반응이 기대보다 약할 경우, 중국증시의 강한 회복세는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시장전문가들 회의적 반응 = 시장전문가들은 중국 정부의 증시부양책에 회의적인 상황이다. 중국은 지난 2년간의 부양 스탠스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 중국 경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부동산 시장에서의 개선 기미가 그다지 나타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신승웅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정부의 증안기금 규모와 시기에 의구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신 연구원은 "2015년 본토증시 대폭락 당시에도 '국가대표펀드'의 증시 부양규모는 1200억위안(약 22조원)에 그쳤다"며 "증안기금의 규모가 현실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중국 증시 침체의 원인은 부진한 펀더멘털에 있다"며 "만약 2.3조위안 규모의 자금 동원이 가능하다면 이를 경기부양에 사용하는 게 더 합리적인 판단"이라고 꼬집었다. 주식시장에 필요한 것은 증안기금이 아닌 경기부양책이라는 것이다. 신 연구원은 "3월 초 전국 양회 전까지 정책 기대감이 점차 증가하며 주식시장도 기술적 반등을 시도할 것"이라면서 "하지만 펀더멘털 개선이 동반되지 않는 기술적 반등은 되돌림의 과정을 겪는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중국 증시 추락과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국내 증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최근 국내증시는 중국 경기불안과 2차 전지 우려 등으로 미국 사상최고치 랠리에 뚜렷하게 편승하지 못하고 있다. 변준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특히 중국 경기에 대한 우려가 재 부각됨과 동시에 미국에서는 트럼프 리스크가 점차 부각되기 시작하고 있어 미중 갈등 재 점화 가능성에 따른 중국에 대한 부정적 영향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김영숙 기자 kys@naeil.com
김영숙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