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부실기업 전년보다 10% 증가했다

2024-01-31 10:35:49 게재

한경협, 외감기업 조사

부동산업 부실확률 21.4%

경기침체로 국내기업들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지난해 부실기업 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업종 가운데는 부동산·임대업 부실확률이 가장 높을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31일 국내기업 가운데 외감기업(외부 회계법인의 정기 감사를 받아야 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기업부실예측모형을 통한 2023년 부실기업 추정'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외감기업(금융업 제외) 3만6425개사 가운데 4255개사(11.7%)가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놓인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2022년 실제 부실기업 수(3856개사)보다 10.3% 늘어난 것으로 2019년 이후 5년간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해 부실기업 수 추정치는 한경협이 직접 설계한 기업부실예측모형에 최소자승법을 이용해 도출됐다.

기업부실예측모형은 기업의 재무지표(자산·매출액·부채·이자비용)를 투입해 재무상태가 정상적인 기업이 '부실'로 전환될 확률을 산출하는 모형이다. 2018∼2022년 비금융업 외감기업(10만8244개)의 재무지표를 회귀분석해 설계됐다.

모형에 따르면 기업의 자산·매출액이 늘어날수록 부실 확률(정상 기업이 부실 상태로 전환될 확률)은 감소했으며 부채·이자비용이 늘어날수록 부실 확률은 증가했다.

지표별로 보면 기업의 자산과 매출액이 1%씩 증가할 때 부실 확률은 각각 0.02%포인트, 0.0004%포인트 감소했다. 부채와 이자 비용이 1%씩 증가하면 부실 확률은 0.02%포인트, 0.00004%포인트 증가했다.

기업부실예측모형을 토대로 외감기업들의 평균부실확률을 계산한 결과 부실 확률은 2019년(5.33%) 이후 매년 증가해 지난해 7.9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보면 부동산·임대업과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이 부실확률이 가장 높았다. 이들 산업의 부실 확률은 각각 21.4%로 집계됐다. 그 뒤로 △교육 서비스업(14.2%) △전기·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13.9%) △운수업(13.4%) 순이었다.

부실 확률이 가장 가파르게 상승한 업종은 건설업이었다. 건설업의 부실 확률은 2019년 2.6%에서 지난해 6%로 4년새 두배 넘게 올랐다.

한경협은 부동산 경기 침체, 고금리 및 원자재값 상승,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 우려 등으로 인한 자금경색이 건설업 부실확률 증가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부실기업 증가는 경제전반의 안정성을 크게 위협할 수 있는 요인"이라며 "자금조달 금리를 인하하고 기업활력제고법상의 사업재편 제도를 활용한 선제적인 사업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고성수 기자 ssgo@naeil.com
고성수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