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도 ‘필수유지시설’ 지정해야

2024-03-29 13:00:26 게재

‘최소 인력 운영 필요’ 지적

새벽협상·파업관행도 문제

서울시내버스 파업이 11시간만에 종료됐다. 하지만 수많은 출근길 시민이 대혼잡을 겪으면서 12년만에 발생한 버스 파업이 과제를 남겼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시내버스 파업이 종료된 28일 오후 중구 서울역버스종합환승센터에서 시민들이 버스를 타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29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시버스노조와 사측인 버스운송사업조합은 28일 오후 3시 20분 임금협상에 합의했다. 합의에 따라 노조는 오전 3시부터 시작한 총파업을 전면 철회하고 즉각 정상운행에 들어갔다.

서울시는 비상수송대책 가동을 해제하고 연장 운행 예정이던 지하철, 전세버스 등 대체 교통수단을 현재 운행방식으로 변경했다.

퇴근길 혼잡과 연이은 교통대란은 막았지만 과제를 남겼다는 지적이다.

가장 많은 시민들이 지적하는 문제는 필수인력 운영이다. 지하철은 법에서 필수유지시설로 지정해 파업 시에도 필수인력이 투입된다. 70% 정도 인력이 평소와 다름없이 근무해 교통대란을 막는다.

하지만 시내버스는 필수유지시설로 지정돼 있지 않다. 서울시 관계자는 “공공성이 강한 시내버스도 일정 비율의 인력은 파업에 참여할 수 없도록 규정하는 문제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국회 차원에서 다뤄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이번 파업을 통해 드러난 노사 협상 관행도 고쳐야 한다는 비판이 높다. 버스 회사 한 관계자는 “지하철, 버스 임단협은 주로 새벽까지 협상이 이어진다”며 “양쪽 모두 줄다리기를 하다 극적 타결이 이뤄지는 모양새를 원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 같은 일이 되풀이 되는 이유를 “노사 양측 모두 자기 쪽 사람들에게 최선을 다했다는 명분을 얻으려 하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 몫이다. 시민들이 잠자는 사이에 파업 결정이 이뤄지다 보니 소식을 못 듣고 출근길에 나서는 이들이 많기 때문이다. 그나마 젊은층은 인터넷, SNS 등을 통해 소식을 접할 수 있지만 나이든 어르신 등은 아무 얘기도 듣지 못한 채 평소처럼 버스정류장으로 향했고 30분에서 한시간씩 버스를 기다리는 경우가 많았다.

서울과 경기를 오가는 버스 중에 회사가 서울시 소속인 경우도 혼란을 가중시켰다. 평소 이용하던 버스가 오지 않자 마을버스와 지하철을 수차례 갈아 타고 서울로 출근한 경기도 거주자들이 많았다.

서울시내버스 파업 노선 중 경기도 진출입 노선은 고양시 등 서울 인접 도시 13개 시 100개 노선에 달한다. 버스 대수만 2047대다.

이제형 기자 brother@naeil.com

이제형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