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취약계층 2명중 1명 '무더위쉼터 몰라'

2016-09-23 11:15:30 게재

국책연구기관 KEI 조사

접근성 고려 등 운영 미흡

폭염취약계층을 위한 '무더위쉼터'가 본디 목적과 달리 그 존재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폭염취약계층 2명중 1명은 무더위쉼터에 대해 아예 들어본 적이 없었다. 게다가 실제 이용자인 취약계층들의 접근성 고려가 미흡하고, 기준조차 명확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내일신문 8월11일자 1면, 19면 참조>

국책연구기관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의 '폭염 대비 무더위쉼터의 실효성 제고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종로구 돈의동 및 창신동 일대의 폭염취약계층 57%는 무더위쉼터에 대해 '전혀 들어본 적 없다'고 답했다. '무더위쉼터를 알고 있으며 방문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18%에 불과했다. 이는 7월부터 8월까지 서울 종로구 돈의동과 창신동 일대에 거주하는 폭염취약계층 44명(41~90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무더위쉼터를 이용하지 않은 이유는 '가까운 무더위쉼터를 모르기 때문'이 57%로 가장 높았다. 무더위쉼터 외에 더위를 피하기 위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시설로는 집 18%, 카페 등 상업시설 16%, 야외쉼터 14% 등이 있었다. 무더위쉼터 외에 다른 시설을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접근성(32%)이었다.

KEI는 보고서를 통해 "무더위쉼터 운영 담당 공무원과 인터뷰한 결과 무더위쉼터 지정시 명확한 기준도 없고, 취약계층 밀집지역이나 접근성 등에 고려가 미흡했다"며 "무더위쉼터의 지정·운영 관리 지침에 무더위쉼터 지정 기준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행정업무 공간을 무더위쉼터라 지칭, 접근성 쉽지 않아" = 다양한 유형의 무더위쉼터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는 제안도 나왔다. 전국 무더위쉼터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곳은 경로당(76%)이었다. 이어 마을회관 12%, 주민 센터 4%, 기타 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경우 지역의 상점이나 서점 등 다양한 유형의 민간시설을 활용하고 있다.

KEI는 "온열질환자 중 63%가 65세 이하를 차지하는 만큼 65세 이상 노인 외의 사람들도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무더위쉼터 지정 및 운영이 시급하다"며 "게다가 무더위쉼터 지정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도록 권고하고 있지만, 주민센터 등의 경우 행정업무를 보는 공간을 무더위쉼터라고 지칭하고 있어 심리적으로 취약계층들이 접근하기가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무더위쉼터의 지정·운영 관리 지침'에 따르면 이용대상자 수를 고려해 1인당 4㎡이상을 원칙으로 재난도우미가 방문해 교육 및 홍보를 위한 별도의 공간 확보를 권고하고 있다.

수원시 등 지자체에서 무더위쉼터 예산 아예 편성 안해 = 무더위쉼터 운영을 위한 별도의 예산조차 편성하지 않은 기초지자체들도 많았다. KEI는 "광역시 및 시범기초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을 검토한 결과, 수원시나 연수구 옥천군 청주청원 제천시 괴산군 등을 제외한 나머지 기초지자체에서는 무더위쉼터 관리 및 홍보를 위한 별도 예산이 편성되어 있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KEI는 "관련 예산의 미확보는 특정 유형시설 지정 편중문제를 야기하고 있다"며 "폭염이 극심한 기후상황에서는 지자체내 무더위쉼터 추가지정 등 정책을 확대하기 위한 잠재적 행정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김아영 기자 aykim@naeil.com
김아영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