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년 100년 만의 강한 폭우 29%(현 추세대로 탄소배출시) 증가

2022-06-14 10:38:43 게재

기상청, 미래 유역별 극한강수 분석 결과 … 시간 지날수록 변화폭 커져

온실가스 배출이 현 추세대로 지속되면 100년 만에 한 번 내릴 법한 극한강수량이 2040년 약 29%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게다가 21세기말에는 낙동강 한강 등 유역별 극한강수량이 최대 70%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극한강수량이란 일반적으로 평년(최근 30년간 기후의 평균적 상태)값을 크게 벗어난 폭우가 내리는 현상을 말한다.
온실가스를 현 추세대로 뿜어내면 극한강수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사진은 2020년 8월 9일 부산 강서구 서낙동강이 집중호우로 수위가 상승하고 흙탕물로 변한 장면. 부산=연합뉴스 조정호 기자


기상청(청장 박광석)과 APEC기후센터(원장 신도식)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미래 유역별 극한 강수량 변화 분석결과를 14일 발표했다. 현재(2000~2019년) 대비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재현빈도 극한강수량의 변화량(백분율)을 대권역별로 정량화했다.

재현빈도란 극한강수량이 나타날 걸로 예측되는 기간을 말한다. 한 예로 재현빈도 50년은 50년에 한 번 나타날 극한강수량을 뜻한다. 대권역별의 경우 전국 수자원을 낙동강 상류·중류·하류, 팔당댐 하류, 북한강, 남한강, 섬진강, 한강동해, 한강서해 등 26개로 분류했다.

◆21세기말 유역별 극한강수량 70% 이상 증가 = 현 상태와 유사하게 온실가스를 뿜어대는 고탄소 시나리오(SSP5-8.5)에 따르면 100년 재현빈도 극한강수량이 2040년까지 약 29% 늘어날 전망이다. 21세기 중반기인 2041~2060년에는 46%, 21세기 후반기인 2081~2100년에는 53%까지 증가할 수 있다.

대권역별 강수량(100년 재현빈도)은 현재(187.1~318.4mm) 대비 21세기 전반기(2021~2040년) 21.4~174.3mm, 중반기 56.0~334.8mm, 후반기 70.8~311.8mm 늘어날 전망이다.

반면 화석연료를 최소화하는 저탄소 시나리오(SSP1-2.6)에서 극한강수량 증가 추이는 큰 폭으로 낮아졌다. 저탄소 시나리오의 경우 현재 대비 21세기 후반기에 100년 재현빈도 극한 강수량이 29% 증가할 전망이다. 고탄소 시나리오에 비해 24%p 낮은 수치다.

물론 저탄소 시나리오를 적용해도 그 효과가 단기적으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21세기 전기와 중기에 100년 빈도 극한강수량은 현재 보다 각각 31% 증가할 전망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탄소중립 정책의 효과로 지구온난화 진행속도가 줄어들면 극한강수의 감소로 인한 홍수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제주도 증가폭이 78%로 가장 높아 = 권역별로 살펴보면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100년 재현빈도 극한강수량 변화율이 50% 이상인 권역의 수는 21세기 후반기에 16개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21세기 전반기에는 1곳, 중반기에는 7곳이다. 제주도 권역의 증가폭이 가장 컸다. 21세기 중반기 약 78% 늘어날 전망이다.

반면 저탄소 시나리오의 경우 100년 재현빈도 극한강수량 변화율이 50% 이상인 권역의 수는 21세기 전반기에는 2곳, 중반기 3곳, 후반기 1곳으로 예상됐다. 또한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70% 이상 증가했던 한강동해 권역과 낙동강동해 권역은 21세기 후반기에 각각 약 39%와 19%로 증가폭이 크게 감소할 전망이다.

박광석 기상청장은 "기후변화로 인한 유역별 극한 강수량 미래 전망정보는 극한강수에 따른 수자원 시설기준 및 홍수위험도 등 안전성은 물론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와도 직결되는 중요한 정보"라며 "극한강수량 강도 증가로 홍수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의 다양한 유역별 기후변화 분석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아영 기자 aykim@naeil.com
김아영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