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권자 리포트│방송토론 보고 후보 찍어볼까

한달 반 동안 최대 25번 TV토론

2017-03-16 11:08:44 게재

이틀에 한번꼴, 대중연설 대체

헷갈리는 정책 비교·검증 기회

이미지에 현혹되면 오히려 '독'

수많은 공약들이 쏟아져 나왔다. 너무 많아 정리가 잘 안 될 정도다. 특히 정말 실현 가능한 것인지 따져보기도 어렵다. 방송토론은 짧은 시간에 여러 공약을 한꺼번에 검증할 수 있는 기회다. '이미지'에 쏠려 판단할 수 있다는 점은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최대 25번에 달하는 TV토론회가 준비돼 있다.

방송사 합동토론회 참석한 민주당 대선주자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인 최성 고양시장(왼쪽부터), 이재명 성남시장, 문재인 전 대표, 안희정 충남도지사가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S 본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제19대 대통령선거후보자 방송사 합동토론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 연합뉴스


◆경선부터 TV토론 잔치 = 대선일이 5월9일로 공지되면서 각 정당마다 본격적으로 선거일정을 확정하고 TV토론회일정도 잡고 있다. 가장 먼저 경선에 들어간 더불어민주당은 모두 10번의 TV토론회를 개최하겠다는 계획을 갖고 이미 3번을 마무리한 상태다. 7번 남았다. 지방방송사가 참여하는 3번의 호남(24일), 충청(26일 또는 27일), 영남(28일 또는 29일) 등 지역순회토론 전에 17일(종합편성채널), 19일(KBS), 21일(MBC) 등 3회의 TV토론이 각각 예정돼 있다. 마지막으로는 30일엔 SBS 주관으로 수도권 토론이 이뤄진다.

국민의당은 최소 4차례, 최대 6차례의 TV토론을 예정해 놓고 있다. 현재 확정된 것은 18일 KBS토론이다.

자유한국당은 25일과 28일 두 차례, 바른정당은 19일부터 3차례의 방송토론을 준비해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요 4개 당의 TV토론만 한달만에 최대 21번이나 이뤄지는 셈이고 이달 말까지 10여일만에 18번이나 계획돼 있다. 매일 한두 번의 후보토론회가 TV로 방영되는 셈이다.

◆법정 토론회도 4번 = 각 당에서 경선이 끝나 대선 후보자가 공식적으로 결정되면 선거법에 따라 3번이상의 선거방송토론이 이뤄진다. 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주관한다.

대선 후보등록이 4월 15일과 16일인 점을 고려하면 선거기간인 4월 17일~5월 8일까지 22일 중 토론회 날짜가 정해진다.

중앙선관위 관계자는 "법적으로 정해진 기준을 통과한 후보를 대상으로 한 토론회를 3회 하고 무소속 후보자 등을 대상으로 한 토론회를 1회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책비교의 장 = TV토론회는 대중연설회가 사라진 틈을 차지했다. 각 정당의 후보들이 나와서 토론을 벌인다는 점에서 유권자의 판단을 도와준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갤럽이 지난 18대 대통령 선거직후인 2012년 12월19일 저녁 6~9시에 전국 만 19세이상 1036명(95% 신뢰수준, 표본오차 ±3.1%)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투표 후보 결정시 참고한 매체는 단연 TV토론(54%)이었다.

중앙선관위 관계자는 "대중연설이 사라지고 매스미디어 영향이 커짐에 따라 TV토론이 선거에 미치는 영향은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면서 "특히 많은 정책들을 한곳에 모아놓고 서로 토론을 통해 검증하는 방식은 상당히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광재 한국매니페스토본부 사무총장은 "선거가 정책경쟁으로 가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정책검증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정부나 선관위 등이 정책검증을 하는 것은 공정성 문제 등 여러 가지 걸림돌이 있는 만큼 다양한 토론의 장을 만들어서 후보들간에 토론을 통해 검증하는 방식이 매우 유효하다"고 말했다.

◆이미지에 빠지지 마세요 = TV토론의 최대 단점은 '짧은 시간'이다. 빠르게 유권자에게 호소하려면 '이미지'를 강조할 수밖에 없다. 토론이 끝난 후에 남는 것은 정책이 아니라 이미지인 경우가 적지 않다. 따라서 TV토론회로 지지하던 후보자가 바뀌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중앙선관위 관계자는 "짧은 시간에 유권자에게 강인한 인상을 주려는 의지로 후보진에서도 이미지를 심어주려는 정책을 쓰고 그런 방송전문가의 조언을 듣는 경향이 있다"면서 "국정운영은 이미지로 하는 게 아닌 만큼 정책을 차분히 들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흥행이냐 공정성이냐 … 짜고치는 '약속겨루기' 한계

['유권자 리포트' 연재 보기]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박준규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