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이달 말 서비스산업발전 TF 신설

2022-11-18 11:07:23 게재

부총리·전문가 공동팀장 … 서비스 수출로 경상수지 개선

서비스산업발전법 입법 추진 … 수출지원체계 구축 등 반영

정부가 입법추진 11년째 국회문턱을 넘지못한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서발법) 제정을 재추진하기로 했다. 서비스 발전을 위한 전담조직도 만든다. 여기서 5개년(2023∼2027년) 중장기 대책을 내놓기로 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기획재정부 제공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8일 "서비스산업 발전은 우리 경제체질 개선과 성장 잠재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구조개혁 과제"라며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입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추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서비스산업 혁신 추진전략을 논의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산업발전 청사진 제시 = 정부는 이달 말까지 민관 합동 서비스산업발전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내년 초까지 서비스산업의 구조적 개혁을 위한 5개년 계획을 마련한다.

TF는 경상수지 개선을 위한 서비스 수출 활성화 방안 등 서비스산업 혁신에 관한 계획을 세우고 부처 간 역할·입장을 조정할 민관 합동 기구다. 팀장은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민간 전문가가 공동으로 맡는다. 기능별·업종별 8개 작업반에서 규제 개선, 세제·예산 지원 등 과제를 발굴하고 5개년 혁신전략과 연도별 시행계획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정부는 기술발전에 따른 다부처·다산업 관련 새로운 서비스 흐름을 반영해 기본법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4차 산업혁명 신기술 발전으로 제조업-서비스업 간, 서비스업 간 융복합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서비스 분야를 위한 혁신 전담 창구도 마련한다. 정부는 대한상의에 민간합동 '서비스산업 옴부즈맨'을 설치해 해당 업무를 지원한다.

◆인력양성방안도 포괄 = 신산업 등장에 따른 갈등을 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인 '갈등조정기구'도 설치한다. 서발법 고도화를 위해 인구구조 변화 등에 따른 서비스 수요, 공급 양상 변화도 반영한다.

인력양성방안도 담는다. 고령화·디지털 전화에 따른 인력 재교육, 분야·연령별 인력 수급동향 조사를 토대로 한 산·학·연 연계 교육 및 서비스 계약학과 설치를 지원한다는 것이 정부의 구상이다.

인프라 정비에도 나선다. 서비스 수출의 개념을 정립하고 관련 지원 근거를 마련하는 동시에 범부처 서비스수출 지원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기재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무역보험공사 등으로 구성된 '서비스산업 수출 정책협의회'를 설치한다.

◆내년 3월 핵심전략 공개 = 이를 위해 정부는 이달 말까지 TF 구성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오는 12월 첫 회의를 개최하고 최대한 신속하게 핵심과제 리스트를 선정할 방침이다.

1~2년 내인 단기, 3~5년인 중장기 추진과제를 모두 망라해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한다. 내년 2월까지는 핵심과제 관련 현장 방문 등 민간 의견수렴 및 부처협의를 통해 혁신전략을 구체화한다. 정부는 내년 3월 서비스산업 핵심 전략(5개년 계획)을 발표할 계획이다.

최근 서비스산업의 구조변화 등 트렌드 변화를 반영한 중장기 청사진이다. 여기에는 서비스산업을 위한 메가 프로젝트도 선정해 추진할 방침이다. 내년 이후에는 작업반별 연도별 시행계획, 기능·분야별 대책을 TF에 산정해 발표한다. 이 과정에서 서비스 연구개발 혁신 전략, 서비스 수출 활성화방안 등의 대책 발표가 이뤄질 전망이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서비스산업 수출은 1212억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약 15.7%를 차지했다. 과거에는 운송, 건설업 중심이었으나 최근 여행, 지식재산권, 사업서비스, 콘텐츠 분야 서비스 수출도 늘고 있다. 서비스 수지 적자는 2019년 268억5000만달러에 달했으나 코로나19 이후 2020년 146억7000만달러, 작년 31억1000만달러 등으로 적자 폭이 축소됐다.

성홍식 기자 king@naeil.com
성홍식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