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성 실장이 설명한 'J노믹스'

일자리 양·질 개선해 '소득주도 성장' 만든다

2017-06-05 00:00:01 게재

성장 정체·분배악화 해법으로 제시

"저소득층 소득감소, 구조적 현상"

고용창출능력과 분배구조 개선에 초점

문재인 대통령이 삼고초려했던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은 '시스템'을 강조했다. 단기 처방이 아닌 중장기 진단과 해법을 내놓겠다는 것이었다. 핵심은 소득주도 성장이었다. 소득이 늘어나 소비가 증가하면 기업의 투자를 유도할 수 있고 이렇게 경제를 선순환시킬 수 있다면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하다는 논리다.

4일 장 실장은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성장이 정체되고 분배가 악화되는 시대적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 소득주도성장"이라며 "문재인정부의 경제정책방향"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소득 5분위 중 하위 40%의 소득감소현상을 지목하면서 "이번에 발표된 분배지표가 많은 정책적 시사점을 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소득을 올려야 내수가 산다 = 장 실장은 악순환되고 있는 우리나라 경제의 고리를 '소득'에서 끊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GDP(국내총생산)를 구성하는 소비, 투자, 대외수출입 중 그동안 관심을 가졌던 '수출입'보다는 '소비'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중 내수, 국내 민간소비가 차지하는 GDP대비 비중이 최하위권에 있는 '내수경제 없는 나라'"라며 "수출상황이나 이런 것에 대응하는 게 아니라 내수는 소득이 만들어져야 생긴다"고 설명했다. 소득을 늘려 소비를 확보해야 기업의 투자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일자리의 양을 늘려라 = 근로자의 소득을 늘리기 위해서는 일자리의 '양'을 확대해야 한다. 이번 추경은 '양'에 맞춰졌다.

장 실장은 올 1분기 최하위 20%의 소득이 2016년 1분기 대비 마이너스로 떨어지고 마이너스 추세가 5분기 동안 지속되는 게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구조화되어 버린 것"으로 지적했다. 그는 "최근 지니계수나 소득 5분위계수 등 (소득분배) 지수가 지난해 크게 악화됐고 이번 1분기에 악화추세가 지속됐다"면서 "분배지표 악화의 주된 원인이 소득하위계층 근로소득이 크게 감소한 반면 고소득층 근로소득 증가세는 그대로 유지되는 게 첫 번째"라고 진단했다.

그는 "지난해 소득 하위 20%(하위 1분위) 근로소득이 무려 9.8% 줄었고 그것은 2015년 4.6% 증가한 것과 비교해보면 엄청난 반전"이라고 했다. "소득 차상위(2분위, 20~40%) 역시 소득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장 실장은 저소득층의 소득감소현상이 실업에서 비롯됐다고 봤다.

그는 "저소득층이 종사하는 도소매, 음식, 숙박 등 서비스업에서 임시직 근로자가 크게 줄었고 제조업 분야에서 영세 협력업체부터 인력감축이 진행된 게 저소득층의 소득감소가 발생한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따라서 그는 "성장동력을 확충하고 고용창출능력을 높여야 기본적으로 (일자리 양 문제가) 해결된다"며 "이러한 노력은 문재인정부 5년 내내 지속적으로 정책을 시행하고 구조를 바꿔나가는 분야가 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일자리의 질을 바꿔라 = 장 실장은 일자리의 '질'에 해당되는 소득격차해소문제도 지적했다. 그는 "중소기업 및 비정규직 근로자의 임금격차를 줄이는 노력이 중요하다"면서 "임금격차 이면에 자리한 대-중소기업간 격차를 줄이고 시장의 공정한 경쟁질서를 확립하는 것도 분배의 양극화 현상을 개선하는 대책"이라고 말했다. 이어 장 실장은 "소득 분배를 해결할 근본적인 게 일자리에 있는 만큼 장기적 구조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누구보다 잘 인식하고 있으며 앞으로 정부는 이 문제에 정책적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11.2조 풀어 일자리 11만개 창출
추경 진통 예고에 당정청 '총력전'
문 대통령 '소득주도 성장 정책' 첫 관문
추경편성 요건에 해당될까
고용부 일자리 추경 3967억원 편성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박준규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