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대한 보건의료데이터 활용 가치 높아"
코로나19 국민지원금, 방역대응에도 쓰임 … 개인정보보호 바탕 위에 민간플랫폼 과제
박종헌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운영실장은 11월 30일 건강보험공단인재원에서 열린 '보건의료데이터를 통한 새로운 가치창출' 기자설명회에서 "건보공단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량은 매우 방대하며 그동안 보건의료데이터를 이용한 정책 지원 등 높은 가치를 창출해 왔다"고 밝혔다.
박 실장에 따르면 2014년부터 1만386건의 가명 연구데이터베이스를 제공했다. 2014년 68건에서 2022년 1211건, 올해 현재 1532건을 제공했다. 학술연구가 다수 차지한다. 학술 70%, 정책 20%, 학위 9%, 기타 1% 정도다.
정부와 공공기관의 정책지원을 보면 국가 보건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자료를 산출 등은 활발하다. 감염병 대응, 만성질환 관리, 의료이용 형평성, 지역자원 배분, 보건의료인력실태, 의료의 질 등 주요 정책 마련에 기여했다.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도 지원한다. 지역 및 주요 사업장별 예방관리 지표를 제공한다. 저소득층 장애인 학대아동 노인 저출산 재난지원금 등 취약계층 및 사회적 이슈도 지원한다.
예를들면 2021년 7월 정부의 코로나19 상생 국민지원금 발표 때 지급대상 기준 마련을 위한 모의실험도 진행했다.
또 코로나19 중증확진자 예측 모형 개발과 현장 활용도 이뤄졌다. 역학조사 데이터, 자격·보험료, 건강검진, 암환자 등록, 기저질환, 예방접종, 노인장기요양, 장애인, 임신출산지원금, 확진 후 중증·사망여부 등 데이터와 코로나19 확진자 데이터를 사용해 입원 필요 에측 모형을 개발했다. 이후 전국민 입원필요 확률을 계산 → 요양기관정보마당 데이터 탑재 → 역학조사관 및 병상배정반 인증·접속 → 확진자 건강 순위 점수 조회 → 역학조사 및 병상배정 시 참고 등으로 활용됐다.
의료행위 수가정책도 지원한다. 기본진료-검사료-영상진단-투약조제-주사료 등 건강보험급여행위 유형별 비용 대비 수익 비율을 확인해 필수의료 영역에 더 높은 수가를 배정하는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일반 국민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보면 익명 정보서비스로 국가승인통계 7종과 다양한 통계집, 공공데이터 토털 98개 데이터 개방, 한국인 건강지수 참조표준, 국민건강정보알람서비스, 건강검진 및 의료이용지표, 의료이용지도 등이 있다. 실명 정보서비스는 건강iN PHR서비스, 개인별 질병 위험도 서비스 등이 있다.
하지만 대국민 정보서비스는 접근이 불편해 활용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또 민간산업계가 직접 수행하는 연구는 30여건에 불과하다. AI기업들의 시범적 연구가 중심이다.
민간산업계 연구가 어려운 점이 있다. 건강보험 연구데이타베이스가 많은 종류의 행정자료 및 청구자료로 구성된 대용량 정보로 통계 패키지 위주로 제공된다. 폐쇄망 내 분석센터가 있어 보안성이 높은 반면 이용 편의성이 낮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리고 기업 내 연구 전담인력이 적은 배경도 있다.
박 실장은 "실명정보서비스 제공에서 유사한 내용의 공공서비스를 통합 정리해야 하며 개인정보 보호 전제 위에서 민간플랫폼 활용 방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