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실채권 인수 위해 현금 쌓고 있다"

2023-09-06 10:55:53 게재

건설업계 "현재 주택사업 불가능"

"만기연장, 디폴트 우려로 인식"

정부가 이달 중 부동산 공급대책 발표를 예고한 가운데 민간주택 건설을 촉진하기 위해 부동산 PF와 보증지원 확대 방안을 검토 중이다. 향후 2~3년 뒤 주택공급 부족에 따른 주택난을 우려해서다. 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7월 민간주택건설 인허가 물량은 20만7278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9% 감소했다. 착공 물량은 10만2299가구로 전년 대비 54.1% 감소했다.

하지만 건설 현장에서는 주택공급 문제가 아니라 '(주택)물건을 만들 수도, 팔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올해 초 수도권에서 2000억원대 분양사업을 무난히 마쳤던 한 시행사 대표 A씨는 최근 40억원대 공동주택부지 계약금을 모두 포기했다. 브릿지론 대출조차 불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지난해까지는 10% 대출금리(초기수수료 10% 별도)가 가능했지만 부동산 건설시장 경색으로 이마저도 힘들어졌다.

금융권 대출을 받는다 해도 문제는 물가상승에 따른 공사비 상승으로 사업진행이 불가능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A씨는 "지난해 초부터 시공비만 평당(3.3㎡) 200만원 가량 올랐는데 이것도 직접공사비에 불과하고 기부채납용 도로, 공원 등 주변 환경 조성비용과 금융비용까지 합치면 고분양가는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 기준 3000만원대 분양가 주택을 매수할 수 있는 유효수요가 실제 있는지도 의문"이라고 토로했다. 대신 향후 발생가능성이 높은 부동산 부실채권(NPL) 매입을 위해 현금을 모으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시행사·시공사 등 건설업계 전반의 분위기라는 말도 덧붙였다.

금융당국이 부동산PF 대주단 3분의 2가 동의하면 만기연장이 가능하도록 협약을 개정해 시행에 들어간 것을 두고 건설업계에서는 위험을 이연시키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로 보고 있다. 다만 연장기한이 올해 말에서 내년 3월까지라는 얘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시장에서 만기연장은 사실상 디폴트 가능성이 높다는 징표로 인식 된다"며 "눈치 빠른 시공사는 이런 사업장에 대해 이미 사업 수주를 꺼리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부동산 PF 부실에 커지는 제2금융권 위기" 연재기사]

김선철 기자 sckim@naeil.com
김선철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