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의눈

‘유통혁신 3.0’과 각자도생

2024-02-01 00:00:00 게재

유통은 빠른 게 생명이다. 주문도 판매도 배송도 속도전이다. 1초라도 뒤처지면 지는 거다. 격차만큼 생존확률은 떨어진다. 유행(트렌드)과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의사결정도 신속한 게 미덕이 된 지 오래다.

온라인 패션 플랫폼 무신사가 느닷없이 대구 동성로와 서울 홍대거리에 오프라인 매장을 낸 이유다. 실물 없는 가상세계 옷 장사로는 한계에 부닥칠 수밖에 없다는 판단으로 읽힌다. 신세계그룹이 웃돈까지 얹어가며 경쟁 이커머스 G마켓을 사들인 배경도 마찬가지다. 한발 앞서 있는 또 다른 경쟁자 쿠팡을 넘어서기 위해서다. 뒤떨어지지 않겠다는 의지표현이다.

hy(옛 한국야쿠르트)는 자체생산 유제품을 ‘온·오프 판매’뿐 아니라 배송까지 직접 한다. 제조·판매에 배달까지 섭렵한 셈이다. 종합유통회사를 표방하지만 처절한 생존 몸부림의 결과다. ‘안주하면 죽을 수 있다’는 비장감마저 엿보인다.

정도 차는 있을지 몰라도 누구도 생존을 장담할 수 없다는 점에서 유통업계 대부분은 비슷한 처지다. 속도감 있는 변신과 빠른 적응은 필수다.

혁신속도 역시 빠르다. 오프라인 매장 전성시대(유통혁신 1.0)를 지나 온라인쇼핑이 활개치던 ‘2.0시대’마저 눈 깜짝할 새 건너뛴 모양새다. 안으론 융복합, 밖으론 각자도생이다. 도둑처럼 온 유통 3.0시대다. 도태되기 싫으면 스스로 도울 수밖에 없는 세상이다.

프랜차이즈 가맹업이 쪼그라든 외식업계도 그랬다. 유통업계에서 가장 먼저 각자도생 길을 걷고 있다. 급감하고 있는 서울 프랜차이즈 가맹 점포수가 방증한다. 서울시 상권분석서비스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서울 외식업 프랜차이즈 점포수는 2만4224개로, 2022년 동기보다 1000개 넘게 줄었다. 2020년 3분기 2만6030개로 정점을 찍은 후 내리막을 타고 있다. 3년 새 1806개의 가맹점포가 사라졌다.

점주들은 본사의 브랜드파워와 안정적인 수입을 기대했지만, 내수경기 악화로 매출이 줄면서 상대적으로 커진 비용부담에 타격을 받았다. 배달수수료까지 오르면서 수익도 제대로 내질 못했다. 가맹점 본부와 헤어질 결심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반면 이 기간 일반 외식업소는 6633개나 늘었다. 사회적관계망(SNS) 발달로 소비자가 발견한 ‘숨은 맛집’을 광범위하게 공유하면서 자연스럽게 마케팅활동이 이뤄졌다.

프랜차이즈로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받기 어려워지면서 차별화한 메뉴를 내건 개별 외식업소마저 늘었다. 가맹본부라는 울타리 없이도 생존가능한 길이 열린 셈이다. 개인 외식업자들이 각자도생을 택한 이유다. 윤석열정부 들어 사회안전망뿐 아니라 경제분야까지 각자도생이 바이러스처럼 번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