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대개조 히든카드는 '한전 연수원 부지’

2024-05-23 13:00:01 게재

64만㎡ 넓은 땅, 매각논의도 활발히 진행

광운대역·창동차량기지와 상승효과 기대

서울 노원구 공릉동 한국전력 연수원 부지가 강북 대개조의 히든카드로 떠오르고 있다.

23일 내일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시는 오세훈 시장의 강북 대개조 계획에 따라 강북권 발전 계획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핵심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업 유치다. 일자리가 부족한 서울 강북권은 늘어나는 인구와 제반 인프라에도 불구하고 베드타운에 머물고 있다.

서울시가 강북권 발전을 위해 광운대역세권, 창동차량기지, 한전 연수원 부지 등에 대한 개발과 기업 유치에 주력하고 있다. HDC현대산업개발이 본사를 이전하기로 한 광운대역세권 개발사업 조감도. 사진 서울시 제공

한전 연수원 부지가 광운대역세권과 창동차량기지 이전 부지에 이은 강북 대개조의 히든카드로 떠오른 것은 부지 활용 여건이 앞의 두 지역 보다 유리하기 때문이다.

우선 기업이 대거 입주할 수 있을 만큼 면적이 넓다. 한전 연수원 부지는 앞의 광운대역세권(15만㎡)과 창동차량기지(24만6000㎡)를 합한 것보다 큰 64만㎡ 규모다. 시에 따르면 강북으로 이전 내지는 신규 투자할 기업들이 원하는 땅은 단순히 기업 건물을 옮길 부지가 아닌 복합개발 혹은 R&D 투자가 가능한 넓은 부지다. 최근 들어 수요가 늘어난 바이오 기업들이 특히 그렇다. 시 관계자는 “창동차량기지만으로는 이 같은 수요를 모두 충족하기 어려워 더 많은 기업을 강북으로 유치하는 데 아쉬움이 있다”며 “한전 연수원 부지가 활용되면 핵심 기업, 주요 시설 유치에 훨씬 좋은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부지 활용 여건도 무르익고 있다. 한전은 지난해 11월 누적 적자 타개를 위한 자구책으로 연수원 부지 매각을 결정했다. 정치적 갈등도 최소화될 전망이다. 노원구를 지역구로 둔 우원식 의원, 김성환 의원은 모두 민주당 소속이지만 이미 총선 전부터 한전 연수원 부지 개발을 공약에 담았고 부지 매각과 이후 개발 방안에 대한 협의를 진즉부터 추진 중이다.

●"특혜 논란 불사할 것" = 시는 창동차량기지와 한전 연수원을 기업 이전 적합 부지로 제공하기 위해 파격적 혜택을 부여할 방침이다. 강서구 마곡지구가 모델 사례로 꼽힌다. 서울주택도시공사가 사업 시행을 맡은 마곡지구는 LG, 롯데, 코오롱 등 대기업과 함께 도시계획을 구상하면서 주거시설과 연구단지를 성공적으로 유입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마곡 모델을 적용할 경우 토지를 조성원가 수준에 매각하는 것은 물론 용적률·공공기여(기부채납) 문제도 기업 입장에 맞게 풀어나갈 수 있을 전망이다.

시 관계자는 “일대를 도시계획구역 수립과 함께 산업단지로 지정하는 문제를 동시에 검토 중”이라며 “특혜 논란을 불사하고라도 파격적인 혜택을 기업에 제공, 강북에 대규모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목표”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시는 빠른 시일 안에 창동차량기지 등에 대한 기업유치 설명회를 열 계획이다. 대기업 20여개사와 제약사 40여개사 등 60여개 기업이 참여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22일 시와 노원구, HDC현대산업개발은 광운대역세권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약 15만㎡ 규모의 광운대역 물류부지로 현대산업개발 본사를 이전하는 것이 뼈대다.

현산은 본사 이전뿐 아니라 업무·상업·주거 복합개발을 추진한다. 눈길이 가는 것은 일부 상업시설에 대해 분양이 아닌 임대 형태로 직접 운영·관리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대목이다.

우리나라의 모든 개발사업은 시행자가 분양 후 퇴각하는 형태로 진행돼 이른바 ‘먹튀’ 논란이 잦았다. 시 관계자는 “사업 시행사가 관리·운영까지 맡을 경우 신뢰도 향상과 지속적인 투자 및 보수가 가능해 상가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올라갈 수 있다”며 “시행자 직영 관리로 일본 도쿄 도시혁신과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 롯본기힐즈처럼 지역과 상생하는 개발사업 모델이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제형 기자 brother@naeil.com

이제형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