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탓 재생에너지 투자'주춤'

2024-05-24 13:00:05 게재

석유공사 “초기 투자비 많아” … 저금리 시대엔 빠르게 확산

최근 고금리 영향으로 재생에너지 확산속도가 둔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국석유공사 스마트데이터센터는 24일 ‘탄소중립 목표, 고금리에 좌절?’ 보고서를 통해 “2020~2022년 저금리 기간에 재생에너지는 발전단가 하락 등 여러국가에서 저렴한 전력 공급원으로 부상했다”며 “하지만 고금리 시대에는 그 반대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국제 재생에너지 기구(IRENA)에 따르면 2022년 글로벌 평균 태양광 발전 단가는 kWh당 0.049달러, 육상풍력 발전 단가는 0.033달러로 2010년 대비 69~89% 하락했다.

원자력(0.23달러)과 천연가스(0.083달러)보다 낮은 수준이다. 탄소배출 감소 목표와 낮은 발전단가를 바탕으로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꾸준히 증가해온 것이다.

석유공사는 재생에너지 발전단가 하락 이유로 △기술발전으로 동일 면적·풍속에서 더 많은 전력 생산 △규모의 경제 확대로 태양광 패널, 풍력 터빈 등 설비비용 감소 △대규모 발전시설 건설에 따른 발전단가 감소 △보조금·세제혜택으로 초기 투자비 및 운영비용 하락 등을 꼽았다. 국제협력과 기술공유 노력도 주효했다.

이와 관련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는 높은 초기자본 투자가 필요한데, 주로 차입을 통해 대규모 자본을 조달한다.

상당수 관련기업들의 자본이 충분하지 않은데다 정부의 금리지원 정책으로 낮은 금리에 자본 조달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낮은 금리로 높은 초기 자본을 조달해 온 만큼 사업성은 금리변동에 영향이 큰 것도 사실이다.

우드맥킨지의 ‘금리와 균등화발전 단가(LCOE) 분석 결과’에 따르면 무위험 이자율이 2% 증가할 때 재생에너지는 LCOE가 약 20% 증가했지만, 가스발전은 11% 증가에 그쳤다. LCOE는 다양한 에너지원의 경제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지표로, 발전소 전 생애주기 동안 발생하는 총 비용을 총 생산에너지 양으로 나눈 값이다.

재생에너지가 이자율 상승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 지표다. 최근 고금리에 따른 이자비용 증가는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프로젝트 비용에 반영되고 있다.

IRENA는 미국 육상풍력 가중평균 자본비용(WACC, 총자본에 대한 평균 조달비용) 조사결과 2022년 4.7%에서 2024년 6.6%로 1.9%p 증가했다고 밝혔다. 개발도상국에서는 증가 폭이 더 크다. 아프리카의 경우 2022년 10.5%에서 2024년 16.3%로 5.8%p 증가했다.

반면 석유·가스기업들은 재무 건전성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드맥킨지가 글로벌 상위 25개 석유기업의 순 부채를 조사한 내용을 살펴보면 2020년 3900억달러에서 2023년 1500억달러로 감소했다.

이는 부채 비율 10~20% 수준으로, 대형 석유기업들은 금리 상승으로 인한 영향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석유·가스 기업들은 안정적 재무구조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진행이 가능한 것으로 관측된다.

석유공사는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는 탄소중립 목표와 경쟁력있는 발전단가 등으로 앞으로 무리없이 진행될 것”이라며 “다만 금리 상승으로 인한 일부 프로젝트의 지연 및 연기는 불가피해 보인다”고 내다봤다.

고금리로 인해 정부의 보조금 및 세액공제를 통한 에너지전환 자금 지원에 많은 공공자금이 소요되면서, 초기 단계 프로젝트들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이재호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