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19
2024
많아졌다”며 “성균관대의 다군 선발 이후 다른 대학들도 다군 선발을 긍정적으로 검토한 것 같아 다군에 상위권 대학이 많아지면서 경쟁률, 충원율, 합격선 등의 변화가 예상된다”고 전한다. ◆무전공 확대로 예측하는 2025 대입 경쟁률, 합격선 = 2025 대입은 무전공 선발 확대와 의대 증원 등의 이슈가 맞물리면서 예측이 쉽지 않다. 그럼에도 무전공 확대가
‘의대 증원’ 등에 반대하며 18일 하루 집단휴진과 대규모 집회를 벌인 의사들이 향후 대정부 투쟁을 위한 논의를 이어간다. 사실상 장기전을 준비하는 모양새다. 19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이날 오후 대한의학회,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 전국의과대학교수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 서울의대 비대위 대표자 등과 함께 연석회의를 연다
06.18
, 2025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과 모집 요강이 발표되면서, 의대증원 절차가 최종 마무리됐다. 그런데도 어제 일부 의대 교수들의 집단 휴진이 있었고, 오늘은 의사협회의 불법적인 진료 거부가 진행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진정한 의료개혁을 이루려면 의료계의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국민이 동의하지 않고, 실현도 불가능한 주장을 고집하면, 모두가 피해자가 될
의사협회 등에 따르면 이날 휴진하겠다고 신고한 곳은 총3만6371개 의료기관 중 4.02% 정도였다. 이 정도로만 참여한다면 역대 최저 집단행동 참여율이 속하겠지만 의협 측 휴진 투표에서는 절반이상이 휴진을 지지한다고 나왔기 때문에 신고율보다 높게 휴진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 의협은 전날 “16일 의대정원 증원 재논의 등 3개 요구안을 정부에 제시했지만
, 서울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 등 4개 병원에서 집단 휴진에 돌입한 서울대 의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17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 의과대학 융합관에서 집회를 열고 결속을 다졌다. 이날 강희경 비대위원장은 “일주일 동안 400~500명의 교수가 외래와 수술 일정을 조정한 결과 이번 주 수술 건수가 이전의 60% 정도에서 30%로 조절됐다”면서 “정부 정책이 결코
06.17
복귀 전공의들에 대해 어떤 불이익도 없을 것임을 명확하게 약속했다”면서 “헌법과 법률에 따른 조치를 시간을 거슬러 아예 없었던 일로 만들라는 말은 몇 번을 고심해도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의대 정원 증원 백지화 수용 불가 입장을 거듭 밝혔다. 이어 “정부는 모든 대화에 열려 있고 항상 준비되어 있다”며 “의료개혁의 틀 안에 들어와 의료개혁의 브레인이 되어
. 대통령실은 당초 의대증원에 대한 의사들의 반발과 여론동향을 주시하며 올해 2월 독일-덴마크 순방을 막판 보류한 바 있다. 그러나 이번엔 집단 진료거부 으름장에도 중앙아시아 순방 일정을 소화하고 원칙론으로 맞서는 모습이다. 의사집단에 대한 비판여론이 확연히 자리 잡았다는 판단으로 읽힌다. 정부는 진료 거부 장기화로 병원에 손실이 발생하면 의사들에게 구상권 청구를
정부가 F학점을 받은 의과대학생도 유급하지 않도록 해주겠다는 구제책을 내놨으나 의대생들의 복귀 조짐은 여전히 보이지 않는다. 의대생들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에 반대하며 지난 2월 중순부터 집단으로 휴학계를 내고 수업을 거부해왔다. 17일 대학가에 따르면 교육부는 최근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주재로 의대 교육 정상화 관련 브리핑을 열고
서울대병원 4곳 교수 절반 이상이 17일 오늘부터 무기한 휴진이 들어갔다. 의사협회를 주도로 의대교수 단체 등도 18일 ‘집단 휴진’에 나선다. 정부는 비상진료체계 강화에 나섰고 환자단체 등은 휴진철회를 요구했다. 17일 의료계와 정부에 따르면 의협은 전날 △의대 증원 재논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쟁점
06.14
가능성 발표에 대해서는 ‘신뢰한다’ 28%, ‘신뢰하지 않는다’ 60%였다. 정부 발표를 신뢰한다는 응답은 국민의힘 지지층(58%) 70대 이상(48%)에서만 많았다. 의대 정원 확대를 둘러싼 의료 사태 책임에 대해서는 정부 책임 38% 의사 책임 48%라는 응답이었다. 진보층에서는 정부 책임(54%) 보수·중도층은 의사 책임(62%, 50%)을 더 무겁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