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7
2024
지난 4일 대학 총장들을 불러 의대생 ‘휴학 불가’ 방침을 강조했던 교육부가 이틀 만에 입장을 바꿔 내년 1학기 복귀를 약속할 경우 휴학을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사실상 학생들이 올해 안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인정한 셈이라 내년 의대 수업이 비정상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커졌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10.04
의과대학 교수들이 정부가 의대 정원 확대를 무리하게 추진하기 위해 의대를 평가·인증하는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평원)을 무력화하려고 한다며 비판하고 나섰다. 이런 가운데 올해 의사 국가시험 실기 응시자가 지난해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해 신규 의사 배출과 공중보건의(공보의) 수급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전국 40개 의대교수들은 3일
대통령실은 4일 서울대가 의대생들의 집단휴학을 승인한 것에 대해 “의대 학장의 독단적 행위”라고 비판했다. 장상윤 대통령실 사회수석은 이날 오전 SBS라디오 인터뷰에서 “집단으로 들어간 휴학은 휴학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라며 “사유 없이 무작정 휴학하겠다는 것은 휴학이 아니기 때문에 막아온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서울대 의대의 경우에는 휴학을
충남도가 지역 국립의대 설립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의정갈등으로 상황은 녹록하지 않지만 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다. 4일 충남도 등에 따르면 충남도 등이 진행하고 있는 국립의대 설립 서명운동 참여자가 35만명을 넘어섰다. 충남도 등은 지난 8월 이후 국립의대 설립을 촉구하는 범도민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충남도엔 이미 의대 2곳이 각각 천안과
10.02
정부의 휴학 불가 방침에도 서울대 의대가 학생들의 휴학계를 일괄 승인했다. 정부의 의대 증원 발표 이후 의대생들이 수업 거부에 나선지 7개월 만으로 전국 의대 40곳 중 첫 사례다. 이에 교육부가 현지 감사에 나서겠다며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의정갈등이 새로운 국면으로 넘어가는 모양새다. 특히 의대생들이 ‘증원 철회 없이는 복귀하지 않겠다’며
2025 대입 수시 원서 접수 결과 전반적으로 경쟁률이 상승했다. 의대 증원과 무전공 확대의 영향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특히 자연계열에서는 의대와 함께 첨단학과도 모집정원이 늘어 합격선 하락을 기대한 수험생의 소신·상향 지원 경향이 주요 대학의 경쟁률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주요 대학 경쟁률 상승 이유는 = 서울 주요 대학, 특히
09.30
방문해서 할 수 있다. 임종한 인하대 의대 교수는 “고혈압·당뇨병 환자에게 일상적으로 관리해주는 사업이 전국으로 시행돼 주민건강관리에 큰 진전”이라며 “고혈압 당뇨환자뿐만 아니라 지역주민 전체의 건강관리를 해주는 일차의료강화사업으로 확장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임 교수는 “ 정부가 의료개혁 추진을 지금 상급종합병원 위주로 추진하고 있는데
의사 등 의료인력의 필요 정도를 추계하는 기구가 신설된다. 전문가 10~15명으로 구성되고 의사단체에 추천권 과반수가 배정된다. 의료인력수급 추계 기구는 의료계에서 계속 요구해온 바다. 의료계는 환영하지만 참여할 분위기는 아직 아니다. 30일 정부 등에 따르면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위가 의대 증원 과정에서 의료계 입장과 요구를 더 폭넓게 많이
09.27
있다. 부정평가 주원인으로는 의대정원·경제 등을 지목했다. 최저치를 벗어나긴 했으나 윤 대통령의 취임 3년차 2분기(7~9월) 평균 직무 긍정률은 25%로 14대 김영삼 28%, 15대 김대중 38%, 16대 노무현 34%, 17대 이명박 49%, 18대 박근혜 36%, 19대 문재인 45% 등과 비교하면 낮은 편이다.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09.26
국민의힘 지도부 만찬이 맹탕 만남으로 평가 받으면서 더욱 표면화됐다. 친한계에서는 당초 한 대표의 협의체 구성 제안이 대통령실과의 협의를 거쳐 나온 것인데 이에 대한 추가적 논의를 전혀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 대표가 요구한 2025년 의대 정원 유예나 보건복지부 장·차관 경질 등을 수용할 뜻이 없는 상황에서 진전을 보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