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지풍파' 일으킨 국방부 안보라인에 장관까지 교체?

2023-09-05 11:10:06 게재

신원식 후임장관설 … 안보2차장·국방비서관은 교체 가닥

해병 순직사건 처리 과정서 '대통령실 외압 의혹' 책임론

국방부가 해병 순직사건,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으로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대통령실 안보라인·국방장관 교체 가능성이 제기돼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5일 여권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은 이종섭 국방부 장관의 후임으로 신원식 국민의힘 의원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하마평이 예상보다 일찍 나오고 있고 변수가 복합적"이라면서도 '신원식 국방장관' 가능성에 대해 "반 이상"이라고 내다봤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장관인선에 대해서는 인물·시기 아무것도 정해진 바가 없다"고 했다.

육군사관학교 37기 출신으로 합동참모차장을 지낸 신 의원은 국방 정책·작전 분야 전문가로 꼽힌다. 21대 국회에 입성한 그는 지난해 국정감사 당시 홍범도 장군 흉상의 육사 배치를 비판한 바 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임종득 국가안보실 제2차장과 임기훈 국방비서관에 대해서도 이달 중순쯤 교체할 뜻을 굳힌 것으로 4일 알려졌다. 안보2차장은 국방·안보분야 담당이다.

안보라인에 이어 국방장관까지 교체설이 나오는 것은 국방부가 해병대 채 모 상병 순직 사건 처리 과정에서 외압논란이 불거진 데 대한 '문책'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해당 사건을 수사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과 국방부가 수사결과 경찰 이첩 보류지시 여부를 놓고 충돌하는 과정에서 '대통령 격노' '혐의자 제외' 등 대통령실 외압 의혹이 불붙은 대목은 그냥 넘어갈 수 없다는 인식이다.

대통령실은 지난해 이 무렵 김성한 안보실장과 신인호 안보2차장을 교체했던 사례를 들며 인사수요에 따른 정례적 인사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여당 일각 및 야권에서는 해병 순직 사건과의 연관성에 무게를 두는 모습이다.

김영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4일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대통령이 직접 개입해 외압을 행사하고 채 상병 사건의 진실을 은폐하는 활동을 해 특검이 불가피하다는 국민적 의혹이 확산되는 와중에 갑자기 2차장과 국방비서관을 바꾼다고 한다"며 "누가 보더라도 이것은 '꼬리 자르기'로 해석된다"고 주장했다.

유승민 국민의힘 전 의원도 SNS에서 "7월 31일 대통령실 회의에서 'VIP(대통령)의 격노와 국방장관 질책'이 사실이라면 국방비서관과 2차장은 그 회의 참석자들, 국방부장관, 해병대사령관 등과 함께 수사외압 의혹 사건의 핵심 증인"이라고 했다.

한편 예비역 육군 소장 출신인 임 차장은 차기 국방부 차관 후보자 등으로 인사 검증이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역 육군 소장인 임 비서관은 군으로 복귀할 것으로 점쳐진다. 임 차장 후임으로는 예비역 육군 소장 출신인 인성환 전 합동군사대 총장이, 임 비서관 후임으로는 최병옥 국방부 방위정책관이 내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재걸 기자 claritas@naeil.com
이재걸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