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4
2024
대전시와 충남도가 행정통합 추진을 선언한 가운데 이를 이끌어갈 협의체가 출범했다. 충남도와 대전시는 24일 오전 대전시청 세미나실에서 김태흠 충남지사와 이장우 대전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행정통합 민관협의체 출범식을 가졌다. 이들은 지난달 21일 35년만에 행정통합 추진을 선언했다. 대전시와 충남도에 따르면 이번 민관협의체는 양 지역 광역의회 의원과 기초자치단체장, 경제·사회단체 대표, 학계 전문가 15명씩 등 모두 30명으로 구성됐다. 공동위원장은 정재근 한국유교문화진흥원장(충남)과 이창기 한국장애인멘토링협회 중앙총재(대전)가 맡았다. 민관협의체는 민관협동 공식 소통기구로서 지역의견을 수렴하며 공감대를 형성하고 통합 자치단체 명칭과 청사 위치, 기능·특례 등 주요 쟁점이 담긴 통합 법률안을 내년 상반기까지 마련해 양 시·도에 제안한다. 충남도와 대전시는 이들이 제안한 법률안을 검토한 뒤 중앙부처와 국회협의를 거쳐 통합 법률안을 제정, 2026년 7월 통합 지방자치단
충남대선공약 판단 갈려 지방은행·육사이전 포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이후 국립치의학연구원 유치 등 충남지역 대선공약에 관심이 모아지는 가운데 김태흠 충남지사가 이들 공약에 대해 엇갈린 판단을 내놓았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23일 충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립치의학연구원 천안 유치는 불확실성이 높아졌지만 결국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국회가 이미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며 “걱정이 많지만 결국 시간이 걸리더라도 성사될 것”이라고 말했다. 내포혁신도시 공공기관 유치에 대해선 아쉬움을 토로했다. 김 지사는 “대전과 충남의 경우 혁신도시 지정 이후 단 한 개도 이전한 것이 없는 만큼 일부라도 먼저 이전하는 것으로 진행되고 있었는데 이런 일(탄핵)이 발생했다”면서 “섣부르지만 어떤 상황이건 종식이 되고 새로운 방향이 나온다면 그 과정에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통령 공약이었고 김 지사 자신의 공약이었던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과 육사 이전은 무산을 선언했다. 김 지사
12.23
2010년 이후 논란을 거듭해오던 대전 유성복합터미널이 드디어 첫 삽을 떴다. 대전시는 23일 오전 유성광역복합환승센터 내 BRT환승센터에서 이장우 대전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유성복합터미널 건립을 위한 기공식을 개최했다. 대전시에 따르면 유성복합터미널은 대전도시철도 1호선 구암역 인근에 총사업비 441억원을 투입해 대지면적 1만5000㎡, 건축 연면적 3700㎡ 규모로 건설된다. 터미널과 연계 가능한 컨벤션 등 복합시설을 유치하기 위한 1만7000㎡ 규모의 지원시설용지, 향후 공공기관 이전에 대비한 7000㎡ 규모의 공공청사 용지도 확보한 상태다. 현재 운영 중인 유성시외버스 정류소는 리모델링을 통해 계속 활용할 계획이다. 유성복합터미널 구상은 대전 둔산·유성 등 신도심 교통허브를 표방하며 시작했다. 대전은 원도심인 동구에 대전역과 대전복합터미널 등이 위치해 있어 신도심 주민들의 불편이 컸다. 특히 유성시외버스정류장은 2010년 당시 소규모 정류장으로 유성 도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