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 마친 유가족, 사고수습 현장에 복귀
11일 비공개 유가족 총회
철저한 진상규명 요구해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들이 장례 절차를 마치고 사고 수습 현장인 무안국제공항에 다시 돌아왔다. 오는 11일 비공개 유가족 총회를 열어 진상규명과 이후 활동방향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10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정부합동통합지원센터는 9일 무안공항 체류를 원하는 유가족을 대상으로 신청을 받고 있으며, 현재 일부 유가족이 임시 천막 4개를 사용하고 있다.
정부는 무안공항 체류나 방문 유가족들을 위해 임시 천막 200여개에 대한 방역을 마쳤고 담요 300개와 방한 장비 등을 준비했다. 또 공항 1층 식당과 제주항공에서 지원하는 밥 차를 운영하고 있다. 유가족들은 오는 11일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비공개 총회를 열어 진상규명을 비롯해 이후 활동계획을 논의한다. 또 오는 18일 합동 추모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정부도 유가족 총회가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며, 총회에서 논의된 사항을 합동 추모식에 최대한 반영한다.
박한신 유가족 대표는 9일 기자회견에서 “사고원인 조사나 정부 발표에 일일이 대응하지 않은 것은 장례에 집중하기 위해서였다”면서 “공정하고 투명하게 사고원인 조사가 이뤄져야 하고 유족들이 소상하게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고원인 규명에 나선 국토교통부는 미국으로 가져간 사고 여객기 비행기록장치(FDR)에서 자료 추출 작업을 시작했다. 또 지난 4일 완료된 비행기 조종실 음성기록장치(CVR) 녹취록에 대한 공개도 협의하고 있다.
주민 157명을 잃은 전남도와 광주시는 1대 1 전담반을 편성해 유가족 심리치료와 상속 절차 등을 돕고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지난 9일 기자 차담회를 갖고 유가족 일상 회복 등 지원 방안을 설명했다. 강 시장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피해 지원 특별법 건의안 세부 내용에 유가족 치유 공간 조성과 경제 회복 지원 등이 담기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유가족과 사회재난 피해자 자조 공간인 ‘1229 마음센터(가칭)’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전남도 역시 지난 6일 특별법 제정 등 사고수습 후속 대책을 발표했던 터라 특별법 제정을 놓고 양측의 협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국회 역시 지난 8일 본회의를 열고 ‘12.29 여객기 참사 진상규명과 피해자 및 유가족 피해구제를 위한 특별위원회’를 만들었다. 위원회는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피해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하면서 특별법 제정을 검토하고 있다.
이상갑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은 “사회적 참사가 있을 때마다 특별법이 제정돼 큰 틀이 이미 잡혀 있다”면서 “시·도가 서로 협의하는 데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방국진 기자 kjbang@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