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영풍 회계 문제점 심각”

2024-11-28 17:04:57 게재

기자간담회서 “금융의 산업자본 지배 부작용 고민”

금융감독원이 MBK와 함께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M&A를 진행하고 있는 영풍에 대해 환경오염 관련 회계상 문제점을 적발하고 현장 조사에 착수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8일 오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영풍에 대해 환경오염 손상차손 미인식과 관련해 회계상 문제점이 발견돼 이번주부터 감리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현장조사에 착수했으며, 매우 심각하게 (사안을) 보고 있다”며 “최대한 신속히 회계 부적정 처리에 대해 결론을 내리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달 영풍과 고려아연 양측을 상대로 대대적 회계심사를 벌여왔다. 이번에 문제가 확인된 영풍 회계 부정 의혹은 앞서 영풍의 고질적 문제로 꼽혀온 환경오염 관련 이슈에 대한 내용이다. 이 원장은 “매우 심각하게 보고 있다”는 발언을 내놓으면서 회계 감리와 조사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고려아연 측에서 주장하고 있는 경영협력계약 배임 가능성과 주주가치 훼손 등 문제점도 조사 속도가 빨라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 원장은 또 MBK·영풍 고려아연 인수시도에 대해서도 처음으로 부정적 시각을 드러냈다. 이 원장은 고려아연 사태와 관련해 “특정 산업에 있어서 20~30년을 해야 하는데 5~10년 안에 사업을 정리해야 하는 형태 구조를 가진 금융자본이 산업자본을 지배하게 됐을 때 사업 규모가 유지되지 않고 주요 사업부문 분리매각을 통해서 주주가치가 훼손되지 않을까 고민해봐야 한다”고 밝혔다.

MBK파트너스라는 금융자본이 고려아연에 대해 적대적M&A를 시도하고 있는 것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MBK와 영풍 측은 단기투자와 엑시트 등 수탈적 자본에 대한 비판이 일자 최근 최대 10년 정도 장기투자 등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원장은 이어 새로운 금산분리 제도 검토 가능성도 내비쳤다.

이 원장은 “산업자본의 금융자본 부작용을 중심으로 당국이 고민해왔는데, 과연 금융자본의 산업자본 지배에 대해서는 고민이 많이 있었나 생각이 든다”며 “이에 대해 고민해봐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도 덧붙였다.

정석용 기자 syjung@naeil.com
정석용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