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기업 52.3% “트럼프 정책 부정적”
벤처기업협회 조사
64.8% 대응책 미비
벤처기업 절반 이상이 트럼프 2기 행정부 정책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벤처기업협회(회장 성상엽)는 23일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국내 벤처기업 영향’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4일부터 11일까지 진행됐다. 벤처기업 400개사가 응답했다.
조사에서 벤처기업의 52.3%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가 경영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했다. 긍정적 전망은 10.6%에 불과했다.

벤처기업들은 기업경영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무역 및 통상 정책(65.2%) △환율 변동(62.2%)을 꼽았다. 환율변동에 따른 원자재가격 상승과 관세인상으로 인한 제품가격 경쟁력 약화을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는 반도체 관련 A사는 “미국의 보편관세 도입 시 제품의 가격경쟁력 저하로 매출이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자부품 업체 B사는 “환율변동으로 원부자재 비용이 상승해 매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반면 트럼프 행정부의 인공지능(AI) 바이오 등 첨단산업 육성 정책과 대중국 견제 기조를 기회로 보는 기업도 다수 있었다.
헬스케어 관련 소프트웨어 기업 C사는 “미국 내 사업환경 개선에 따라 현지 기업과 협력체계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며, 새로운 사업 기회를 모색 중”이라고 전했다.
벤처기업 54.4%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변화에 대비한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준비돼 있는 벤처기업은 0.8%에 그쳤다. 준비 중인 기업은 34.5%였다.
벤처기업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변화에 대비한 주요 전략으로 △제품 및 서비스 경쟁력 강화(53.9%) △신규시장 발굴 및 진출(48.0%)을 우선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정책변화 지속 점검(29.6%) △공급망 위기관리(28.2%) 등이 뒤를 이었다.
필요한 정부지원 정책으로는 △금융 및 환리스크 관리(51.5%) △대체시장 발굴, 판로개척 등 수출지원(49.0%)를 가장 많이 원했다. △국내 규제 완화(31.3%) △미국정책 변화에 대한 정보제공(22.0%) 등도 요구했다.
전자장비 업체 E사는 “정부에서는 환율 목표범위 설정과 시장개입에 대한 명확한 기준마련을 통해 기업들이 환율변동에 대비할 수 있도록 환율 정책 방향성을 명확히 제시해 달라”고 요구했다.
또한 “기업이 국제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불필요한 규제를 완화하고 제도적 지원을 확대해 달라”고 주문했다
성상엽 회장은 “최근 30년간 우리가 경험하지 못한 위기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벤처기업이 다시 한번 한국경제의 구원투수로 나설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가 적극적인 관심과 정책적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