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온누리상품권 제대로 될까

2025-01-13 13:00:01 게재

15일부터 기업구매·선물하기 일시 중단

비즈플레이, 3월 1일 플랫폼 개통 못해

조폐공사 “기술능력 충분해 문제없어”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서비스가 멈출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설 명절을 앞둔 15일부터 기업구매와 선물하기 서비스가 중단되면서 걱정이 커지는 모양새다.

원인을 두고 신규사업자로 선정된 조폐공사와 기존사업자(비즈플레이)간 입장차기가 커 소상공인들은 애를 태우고 있다.

13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8월 ‘온누리상품권 통합 운영사업자’로 조폐공사가 선정됐다. 그간 분리돼 운영되던 모바일-카드형 온누리상품권을 통합하는 사업이다. 별도 플랫폼 운영에 따른 수수료와 행정비용을 절감하고 결제 편의성과 소비자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통합을 위해 2026년 말까지 2년 간 총 557억7000만원을 투입한다.

조폐공사의 운영사업자 기간은 당초 올 1월 1일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였다. 즉 1월 1일부터 무리없이 통합플랫폼을 운영해야 했다. 하지만 준비미흡으로 서비스 운영을 3월 1일로 미뤘다.

2개월간 운영은 기존 사업자인 비즈플레이(모바일 온누리상품권)와 KT(카드형 온누리상품권)가 맡기로 했다.

문제는 조폐공사가 여전히 통합시스템 구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이다. 조폐공사는 원인을 비즈플레이의 비협조를 꼽았다.

KT와는 업무협조가 잘 이뤄졌지만 비즈플레이는 사사건건 문제를 제기해 테이터 이관작업이 차질을 빚고 있다는 것이다.

조폐공사는 “자체 기술인력이 있는 데다 이전까지 지역화폐플랫폼사업 운영과 플랫폼 이관작업 경험이 있어 차질없이 진행 중”이라며 “현재 온누리상품권 데이터 분할과 적재 프로그램 개발이 완료된 상태”라고 밝혔다.

조폐공사는 지역사랑상품권 회원수 299만명, 연간 거래규모 2조7000억원, 정책수당 350여종 지급 등 대용량 플랫폼 운영 중이어서 충분한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조페공사는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에 대해서는 서비스 방향과 일정을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연전히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의 데이터 분석을 진행 중이다.

비즈플레이의 평가는 다르다. 조폐공사의 기술력과 플랫폼 운영능력이 부족하다는 주장이다. 석창규 웹케시그룹 회장은 “3월에도 조폐공사의 통합플랫폼 운영이 사실상 불가능해 상품권 유통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주장했다.

석 회장에 따르면 통상 이관 데이터에 대한 분석은 적어도 4개월 이전에 마무리 돼야 정상 개통이 가능하다. 분석이 끝난 후 이관 전체 데이터를 플랫폼에 적재해 통상 3~4개월간 4회 이상의 안정성 시험을 거친다. 또 2회 이상의 실제 운영을 거친 후 정상을 확인해야 하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조폐공사는 현재 모바일 데이터 분석도 완료하지 못한 상황이다. 석 회장은 “2022년 서울페이 사업자 변경 시 이관기간에만 갖은 오류와 시행착오로 20개월이나 소요 됐다”며 ‘3월 1일 서비스 개시 불가’를 주장했다.

비즈플레이는 ‘결제 안정성’ 문제도 지적했다. 조폐공사는 “현재 각종 결제채널서비스 연계 테스트 진행 중이고 2025년 2월 CBT(정식 서비스 전 비공개 검사)를 통해 최종 점검할 것”이라는 일정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비즈플레이는 “구축중인 플랫폼일 경우에도 서비스 개시 3개월 이전에 결제 채널에 대한 CBT 등은 이미 완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비즈플레이의 경우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운영 시 통상 결제채널 1개를 물리적으로 연결 후 약 2~4주 점검기간이 소요됐다.

석 회장은 “조폐공사가 수십개의 결제채널을 불과 1달만에 연계하고 개발, 점검까지 가능하겠는가”라며 “절대 가능하지 않다”고 자신했다.

조폐공사의 ‘3월 1일 온누리상품권 통합플랫폼 정상가동’ 발언에도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조폐공사가 약속을 지키지 못한 탓이다. 조폐공사는 지난해 10월 회의에서 2025년 1월 1일 정상 오픈을 장담했다. 곧바로 준비미흡을 이유로 2개월 연장을 요청했다.

석 회장은 “비즈플레이는 지난 7년간의 운영경험을 통해 수많은 우려를 제기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앞으로 발생할 문제는 조폐공사가 감당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

김형수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