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진 회장 이마트 지분 10% 매입한 이유
비용 더 들더라도 책임경영 방점
이명희 회장 지분 전량 매입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이명희 총괄회장이 보유한 2141억원 상당 이마트 지분 전량(10%)을 매입하기로 결정했다. 계열 분리 선언 후 시장에 책임경영 메시지를 강력히 피력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정용진 회장이 독자노선을 확고히 한 만큼 정유경 (주)신세계 회장 지분 매입 혹은 증여 시기에도 관심이 모인다. 이마트는 10일 정용진 회장이 이 총괄회장이 보유한 이마트 지분 10%를 매수하는 거래계획보고서를 공시했다.
정용진 회장은 2월 10일부터 3월 11일까지 이 총괄회장이 보유한 이마트 보통주 278만7582주(10%)를 시간외 거래를 통해 매수한다.
친족 간 거래로 주식 1주당 가격은 지난 9일 종가(6만4000원)에 20% 할증이 붙은 7만6800원으로 책정했다. 총액은 2141억원에 달한다. 정 회장은 모친 지분 인수를 위해 현금 등 개인 자산을 활용할 계획이다. 지분 매입을 마치면 정 회장의 이마트 지분률은 18.56%에서 28.56%로 높아진다.
친족 간 지분 매입은 증여와 비교해 더 많은 비용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총괄회장도 주식 양도 후 수백억원대 양도소득세를 납부해야 한다. 법적으로 계열 분리가 되려면 친족 간의 지분 정리가 선행돼야 한다. 신세계그룹은 2011년 이마트가 신세계에서 분할해 별도 법인으로 출범하면서 사실상 이마트, (주)신세계 두개의 지주회사 형태로 운영돼왔다.
정용진 회장은 이마트 최대주주로 대형마트, 복합쇼핑몰, 식음료, 이커머스, 호텔, 건설 사업 등에 주력했다. 동생인 정유경 회장은 백화점, 면세점, 아울렛, 패션·뷰티 사업을 중점적으로 키웠다. 현재 자산 총액은 이마트가 43조100억원으로 (주)신세계(19조400억원)보다 2배 이상 크다. 하지만 지난해 영업이익 전망치는 (주)신세계가 약 5400억원으로 1600억원대인 이마트의 3배 이상이다.
정유경 회장도 정용진 회장처럼 직접 매입 방식을 선택하면 상당한 규모의 사재를 투입해야 한다. (주)신세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이명희 총괄회장이 보유한 지분 10%는 보통주 98만4518주다. (주)신세계의 주가와 친족 간 거래 할증 등을 고려하면 전량 매입 시 약 1550억원 규모의 자금이 소요될 전망이다.
이마트 관계자는 “이번 주식 매매 계획은 정 회장이 이마트 최대주주로 성과주의에 입각한 책임경영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며 “불확실한 대내외적인 환경속에 개인 자산을 투입해 부담을 지고서라도 기업가치 제고에 대한 책임 의식과 자신감을 시장에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다.
정석용 기자 syjung@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