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보존방안 25년만에 재수립

2025-01-15 13:00:19 게재

부산시 환경기본계획용역

17일 대시민 공청회 개최

부산시가 낙동강 하류 개발에 나선 지 25년 만에 새로운 환경 보존방안 마련에 나섰다.

낙동강 철새 개발 몸살을 앓던 낙동강 하류 일대에 대한 환경보전방안이 새롭게 마련된다. 사진 부산시 제공

부산시는 하구일원 환경관리기본계획 재수립을 위한 대시민 공청회를 17일 오후 시청 국제회의장에서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

시가 주최한 공청회에는 학계와 공기업 시민단체 환경단체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토론자로 참여한다. 낙동강하구일원 환경관리기본계획 수립안 발표와 토론 후 시민들을 중심으로 한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시는 공청회에 나온 의견을 바탕으로 기본계획 재수립안을 마련해 낙동강하구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계획이다.

앞서 시는 지난해 11월부터 기본계획 재수립 용역에 나섰다. 서부산권에 추진 중인 각종 개발계획과 연계 검토해 개발사업과 철새도래지 복원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화로운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다. 총액은 15억원으로 용역은 2026년 6월까지 예정이다.

부산시가 낙동강 하구일원 환경관리기본계획 수립에 나선 것은 25년 만이다. 앞선 기본계획은 지난 2000년 을숙도대교 건설을 계기로 처음 수립됐다.

하지만 낙동강 하구는 그동안 서부산권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환경단체와 끊임없는 갈등이 일었다.

1000만평 그린벨트 해제 전략에 따라 명지국제도시 에코델타시티 등 신도시가 건설됐고 국제산업물류단지 등 산업단지들도 추가로 들어섰다. 대저대교 장낙대교 엄궁대교 등 대규모 교량도 추가로 건설 중이다. 부산 도심은 개발 공간이 포화돼 기장군이나 강서구 외에는 유휴 공간이 부족한 탓이다.

시민사회에서는 개발도 중요하지만 천연기념물인 낙동강 하류 일대에 대한 보존방안 마련을 꾸준히 요구해왔다.

시 역시 기존계획의 성과와 한계를 검토, 보다 효과적인 관리방안 마련을 위해 기본계획 재수립을 추진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이병석 부산시 환경물정책실장은 “서부산권 각종 개발사업으로 인한 환경영향 저감 및 낙동강하구일원 생태계 보호를 위해 추진된다”며 “낙동강하구를 사람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글로벌 생태관광지로 조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곽재우 기자 dolboc@naeil.com

곽재우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