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 수괴’혐의 윤석열 대통령 체포
공조본 영장집행, 물리적 충돌 없어
공수처 이송 … 내란 혐의 대면조사
12.3 내란 우두머리 혐의를 받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이 집행됐다. 비상계엄 선포 43일만이다. 현직 대통령이 체포돼 수사기관의 조사를 받는 건 헌정 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와 경찰 등이 참여하는 공조수사본부는 15일 “10시 33분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집행했다”고 밝혔다.

공수처와 경찰은 이날 새벽부터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찾아 체포영장을 집행하려 했으나 대통령경호처 직원들에 막혀 5시간여 대치해야 했다. 하지만 경호처가 적극적으로 반발하지 않으면서 우려했던 물리적 충돌은 없었다.
공수처 관계자는 “1차 집행 때와는 다르게 집행을 적극적으로 막는 인원이나 경호처 직원들은 없었던 상황”이라며 “물리적 충돌도 오늘은 사실상 없었다”고 밝혔다.
공수처가 이날 제시한 체포·수색영장에는 윤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가 담겼다. 공수처는 대표적인 피의사실로 “위헌·위법한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국회의 정치활동까지 금지하는 불법적인 계엄 포고령을 포고했으며, 경찰 및 계엄 담당 군인 등으로 하여금 불법적으로 국회를 봉쇄해 국회의원들의 국회 출입을 막는 한편 계엄령 해제를 위한 표결권 행사를 방해하게 하고 체포 요건이 되지 않는 여야 대표 등을 불법 체포하게 한 사실 등”을 제시했다.
윤 대통령 신병을 확보한 공수처는 과천청사에서 윤 대통령을 상대로 대면조사를 진행한다. 조사는 이대환·차정현 부장검사가 맡게 된다.
체포 후 48시간 이내 구속영장을 청구하지 않으면 석방해야하는 만큼 공수처는 고강도 조사를 진행한 후 윤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할 것으로 전망된다. 윤 대통령은 서울구치소에서 결과를 기다릴 것으로 보인다.
앞서 공수처 검사와 수사관 40여명과 경찰 1200여명은 이날 새벽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찾아 체포영장 집행 시도에 나섰다.
지난 3일 1차 집행 당시 공수처와 경찰 인력을 합쳐 150명 정도에 그쳤던 것에 비하면 10배 가까이 증가한 규모다. 당시 100여명이 관저 경내에 진입했으나 2배 규모인 200여명의 경호처·군 인력과 대치하다 5시간 26분 만에 물러선 바 있다. 이에 경찰은 2차 집행에 서울·경기남부·경기북부·인천청 안보수사대 및 광역수사단에서 대규모 인력을 차출했다. 영장집행에 앞서 경찰은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서 연좌 농성을 벌이던 시위대를 해산시키며 진입로를 확보했다. 이를 위해 경찰은 기동대 3000여명을 관저 인근에 배치했다.
공수처와 경찰은 15일 새벽 4시 20분쯤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 앞에 도착했다. 일부 경력은 관저 진입 시도를 시작했고 이를 저지하는 윤 대통령 지지자 등과 몸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또 국민의힘 의원 30여명이 ‘인간띠’를 만들고 경찰과 대치하기도 했다. 관저 앞을 장악한 후 체포조·호송조 수사관들은 7시 34분쯤 관저 1차 저지선을 넘어선 데 이어 오전 7시 48분쯤 2차 저지선을 우회 통과했다. 경찰은 이날 사다리를 이용해 관저 내로 진입했다. 경찰은 사다리를 타고 관저 정문을 넘어선 후 대열을 정비한 후 관저 건물로 이동했다.
당초 경찰은 대형 레커 차량으로 버스차벽을 걷어낸 후 1차 집행 때와 같이 정문 진입을 계획이었지만 현장 상황 등을 고려해 이같이 조치했다.
공조본은 1·2차 저지선을 돌파한 후 사다리와 절단기 등 경장비를 챙겨 관저 건물로 향했다. 막아서는 경호처 직원을 현행범 체포하기 위해 채증할 수 있는 카메라도 투입됐다.
경찰은 이날 7시 57분쯤 별다른 저항 없이 관저 앞 철문에 도착했다. 호송조는 관저에서 도보 10여분 거리로 떨어져 대기했다. 공수처와 경찰은 철문 앞에서 윤 대통령 변호인 윤갑근 변호사와 정진석 비서실장을 만났다. 3분가량 대화를 나눈 후 공수처와 경찰 일부 인력이 3차 저지선 내부로 진입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공수처로 출발하기에 앞서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불미스러운 유혈사태를 막기 위해서 일단 불법 수사이기는 하지만 공수처 출석에 응하기로 했다”며 “공수처의 수사를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구본홍·장세풍·김형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