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세대 포위론으로 재집권 기대감

2025-02-10 13:00:38 게재

2030 ‘탄핵 기각’ 상승 … “4050·민주당 위선에 거부감”

▶1면에서 이어짐

한 달 뒤 조사(2월 3~5일)에서는 ‘탄핵 인용’ 55%, ‘탄핵 기각’ 40%였다. ‘인용’이 7%p 떨어지고, ‘기각’이 7%p 상승한 것이다. 이 같은 변화는 20·30대가 주도했다. 40대 이상 연령층의 ‘탄심(탄핵 찬반)’은 큰 변화가 없었지만, 20·30대에서는 ‘인용’이 급감하고 ‘기각’이 급등한 것이다.

여권에서는 계엄 이전부터 가시화된 20·30대의 보수화 흐름이 탄핵 찬반 논란을 계기로 재부각된 것으로 해석한다. 여권 전략통으로 꼽히는 인사는 9일 “조 국 사태와 문재인정부 당시 부동산 급등을 계기로 20·30대는 40·50대와 민주노총, 민주당을 기득권층으로 보게 됐고 그들의 말로만 공정과 정의, 평등을 외치는 위선적 행태에 강한 거부감을 느끼게 됐다”며 “탄핵 논란을 계기로 20·30대의 보수화가 재부각되고 있지만 20·30대의 보수화 흐름은 이미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고 말했다.

여권은 ‘20·30대가 보수화 흐름을 탔다’는 판단 아래 탄핵 정국에도 불구하고 조기 대선이 실시될 경우 재집권을 기대하는 눈치다. 2022년 대선처럼 국민의힘 후보가 20·30대에서 상당한 지지를 얻는 세대 포위론을 통해 민주당 후보를 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 탄핵이 인용돼 ‘제2의 탄핵정당’이 되더라도 재집권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유지하는 이유다.

앞서 관계자는 “20·30대가 뚜렷한 보수화 흐름을 보이는 이상, 조기 대선이 열리더라도 국민의힘이 재집권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며 “40·50대와 민주노총이 지지하는 이재명 대표는 40%를 넘기 어려운 구도”라고 주장했다.

물론 여권의 ‘20·30대 보수화론’ 주장은 ‘20·30대 남성’에 국한된다는 해석도 나온다. 젠더 갈등의 후폭풍으로 인해 20·30대 남성은 보수화, 20·30대 여성은 진보화 흐름으로 갈렸을 뿐이라는 것이다.

2022년 대선에서도 윤 후보는 20·30대 남성에서는 높은 지지를 얻었지만, 20·30대 여성에서 크게 밀렸다. 젠더 갈등에서 비롯된 20·30대 남성의 표심 변화를 ‘20·30대 보수화론’으로 보는 건 ‘과잉 해석’이라는 지적이다.

엄경용 기자 rabbit@naeil.com

엄경용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