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경주 ‘APEC 정상회의’ 차질 우려
계엄·내란·탄핵 정국서 ‘정상’ 없이 준비
범국가적 홍보 분위기조성 등 동참 절실
경북도와 경주시의 ‘2025 APEC 정상회의’ 준비에 차질이 우려된다. 12.3 내란사태로 촉발된 탄핵정국이 장기화되면서 아시아·태평양 지역 21개 국가 정상들이 참석하는 정상회의지만 개최국인 대한민국은 ‘정상’ 없이 대규모 국제행사를 준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14일 경북도와 경주시 등에 따르면 2025 APEC 정상회의는 아태지역 21개국 정상과 각료 기업인 등 2만여명이 참석하는 대규모 국제행사다. 경북도와 경주시는 이번 행사를 통해 초일류국가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을 재확인하고 신라 천년고도 경주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이번 대회를 유치했다.
특히 올해 회의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열리는 첫 정상회의이고, 시진핑 중국 주석 등을 포함 주요 4대 강국 정상이 모두 참여하는 만큼 세계 이목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이 행사는 12.3 내란사태로 빚어진 혼란한 정국의 영향으로 힘을 받지 못하고 있다.
우선 범정부 차원의 홍보와 국민 공감대 형성이 부족하다. 행사 개최시기가 9개월도 남지 않는 촉박한 일정인데도 국민적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국민여론은 대통령 탄핵 찬반으로 갈리고 있고 연일 쏟아지는 탄핵정국 현안에 매몰돼 있다.
경북도는 정부 차원의 확고한 의미 표명과 재계의 참여를 통해 국가적 ‘붐업’이 절실하다며 협조와 관심을 촉구하고 나섰다. 먼저 각 부처별 홍보채널 가동을 요구하는 등 정부 차원의 홍보네트워크를 총동원해 홍보활동을 하자고 주장한다.
경북도는 또 국회를 향해서는 여야정 공동사절단 파견을 건의하는 등 협조를 요청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2025 APEC 정상회의가 대통령 탄핵으로 인해 제대로 추진되겠느냐는 의구심을 불식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역대 최고 수준의 경제 APEC 개최를 위한 정부와 재계의 동참도 다급한 실정이다. 경북도가 이태식 전 주미대사, 신봉길 한국외교협회장 등을 외교특별위원으로 위촉해 해외홍보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있지만 자체 노력만으로는 한계를 느끼고 있다.
APEC 정상회의는 경제분야 협력회의로 21개 회원국 정상과 글로벌 CEO들이 한곳에 모이는 만큼 국내 기업들을 제대로 알릴 수 있는 ‘쇼 케이스’로 활용해야 한다. 이에 도는 글로벌 CEO의 대규모 참여를 독려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와 재계의 협력을 촉구했다.
지난 2030 부산세계엑스포 유치 때와 같이 국내외 붐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2030 부산 엑스포 유치 당시에는 국내 11개 주요 기업이 민간차원의 유치위원회를 꾸려 활동한 바 있다.
추가적인 예산확보도 시급하다. 2025 APEC 정상회의 지원 특별법에 근거해 추가경졍예산을 편성할 수도 있지만 촉박한 시일을 고려해 예비비 활용도 필요하다는 것이 경북도 입장이다. 경북도는 구체적으로 보문관광단지 야간경관 개선, 정상회의 만찬장 조성, 가로경관 개선 등에 필요한 265억원의 예비비를 요청하고 있다.
경북도·경주시 APEC 준비지원단 관계자는 “실무와 현안업무 처리에도 손발이 부족한 지자체의 한계를 보완하고 부족한 국내외 홍보를 위해 정부와 재계의 전폭적인 협조와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최세호 기자 seho@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