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부터 기업 본격 설비투자, 당국·정책금융기관 적극 지원”
상반기 150조원 이상 공급
반도체 2%대 저리대출 실행
“3월부터 각 기업의 재무제표가 순차적으로 확정되고 본격적인 설비투자가 시작되는 만큼, 산업현장에 활기가 가득하도록 금융위원회와 정책금융기관이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책금융기관 조기집행’ 점검회의에서 이 같이 밝혔다.
정부는 지난달 ‘2025 주요현안 해법회의’에서 실물경기의 조속한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4월까지 예년대비 최대 10조원 확대된 정책금융을 집행하는 등 상반기 중 최대 60%를 신속집행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날 회의는 자금신속집행의 원활한 이행을 점검하기 위해 마련됐다.
산업은행·수출입은행·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 등 5개 정책금융기관은 올해 들어 이달 14일까지 33조원의 자금을 공급했다.
정부가 올해 공급하겠다고 밝힌 정책금융 규모는 247조5000억원이다. 수출입은행이 빠진 4대 정책금융기관의 공급 규모로 전년 대비 7조원 늘었다. 여기에 수출입은행 목표치가 추가 반영되면서 정부는 올해 4월말까지 122조원 이상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지난달 ‘주요현안 해법회의’에서 발표한 공급목표 보다 3조원 증가한 것은 이 때문이다.
정부가 상반기에 정책금융의 60%를 공급할 경우 148조5000억원에 수출입은행 추가 공급분을 더하면 15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주로 저금리 대출 중심의 지원 방안으로 산업은행은 지난달 4조2500억원 규모의 ‘반도체 설비투자지원 특별프로그램’을 출시했다. 반도체 설비투자를 하려는 기업의 경우 산업은행을 통해 2%대 국고채 수준 금리로 자금을 대여 받을 수 있다.
정책금융기관들이 여신 중심의 자금공급에서 지분투자로 전환하는 움직임도 있다. 정부는 정책금융기관의 직접 투자 목표액을 지난해 1500억원에서 올해 1조원 이상으로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지분투자 확대를 위한 정책펀드 결성도 예년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혁신산업 육성·스케일업 목적 펀드인 ‘혁신성장펀드’는 예산안이 확정된 직후인 작년 12월 조성계획을 발표했고, 이달 10일에 모펀드 운용사 선정을 마무리했다. 2023년과 지난해에 비해 2개월 가량 빠른 것으로 산업현장에 자금이 실제 공급되는 시점도 빨라질 전망이다.
이경기 기자 cellin@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