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주도 상생개헌행동’ 출범
전국단위 개헌운동 추진
시민사회·학계 등 집결
국민주도 헌법개정을 추진하는 전국 운동단체가 출범했다. 시민사회단체 대표자와 학계·종교계·정치원로 등이 총집결해 결성한 개헌운동단체로, 조기대선을 앞둔 정치권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국민주도상생개헌행동은 12.3 계엄사태 이후 국가적 민주주의 위기를 극복하고 국민주도 개헌으로 새로운 제7공화국을 열기 위해 개헌행동을 결성하고 24일 오후 서울YWCA에서 창립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날 창립선언문에서 “1987년 헌정체제에서 수립된 제왕적 대통령제를 혁파하고 거대 양당 중심제를 다당제로, 중앙집권제를 지방분권제로 바꾸고 지역대표형 상원제와 주민자치제 도입을 개헌에 담아야 한다”며 “국민주도 제7공화국 상생개헌은 역사상 처음으로 국민의 손으로 헌법을 만드는 새역사가 쓰일 것”이라고 밝혔다.
개헌행동의 개헌 추진 방향은 △제왕적 대통령제를 개혁해 온전한 삼권분립 실현 △100% 비례성을 보장한 다당제 실현 △정당성립 자유화를 통한 지역정당 허용 △지역대표형 상원제 도입과 연방제 수준의 지방분권 실현 등이다.
이를 위해 우선 ‘헌법개정 국민발안제’를 헌법조항에 삽입하는 단발 개헌을 최우선 목표로 삼았다. 이를 통해 개헌절차법을 제정해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헌법개정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개헌행동은 전국 15개 시·도별 공동대표 체제로 운영되며 안성호(전 한국행정연구원장) 상임공동대표를 비롯한 90명이 공동대표로 참여한다. 고문단에는 정대철 헌정회장, 김관용 전 경북지사, 이시종 전 충북지사 등 각계 원로들이 이름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