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런’ 지자체와 협력 확대
김포시와 업무 협약
충북도· 강원 평창도
‘서울런’이 타 지자체로 확산되고 있다.
서울시는 경기 김포시와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서울런 플랫폼 공동 활용 등에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고 25일 밝혔다.
김포시의 서울런 참여는 지자체 가운데 세번째다. 앞서 서울시는 충북도, 강원 평창군과 협약을 맺고 해당 지자체 학생들도 서울런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서울시는 김포시에 서울런 플랫폼을 공유하고 김포시는 이를 바탕으로 지역 내 교육 격차 해소와 주민들의 사교육비 부담을 줄이는 데 집중해 나가기로 했다. 김포시의 조사에 따르면 고등학생의 경우 경기도 평균보다 김포시의 사교육비 지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가구당 사교육비가 97만원, 김포시는 100만원꼴로 조사됐고 학생 1인당 비용도 경기도 89만5000원, 김포시 93만4000원으로 나타났다.
김포시는 이르면 올해 하반기부터 저소득층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서울런 플랫폼을 활용한 교육 지원사업을 시작해 점차 지원 대상자를 확대해 갈 계획이다. 서울런을 이용하는 김포시 학생들은 온라인 학습 콘텐츠뿐 아니라 멘토링도 지원받게 된다.
앞서 서울시와 협약을 맺은 충북도와 평창군은 현재 학생 모집, 진학 컨설팅 등 서울런을 본격 활용하기 위한 준비에 한창이다. 평창군은 지난 20일 참가자 모집을 시작했고 3월부터 시범운영에 들어간다. 평창군 초·중·고등학생 220명은 서울런 플랫폼에 마련된 ‘평창런’ 누리집에 접속해 온라인 학습콘텐츠 및 진로·진학 컨설팅 등을 제공받게 된다.
충북도 역시 오는 5월 중 제천 보은 옥천 영동 괴산 단양 등 도내 인구감소지역 청소년 1200명을 대상으로 ‘충북런’ 사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서울런은 서울시가 운영하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이다. 경제력에 무관하게 모든 학생이 균등한 학습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돕자는 이른바 ‘교육 사다리’ 정책이다. 메가스터디 등 유명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저렴한 비용에 이용할 수 있어, 서울 전역은 물론 전국 어디서나 동일한 학습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시는 서울런 활용도를 지역뿐 아니라 다양한 계층과 교육 사각지대로 넓혀가고 있다. 지난해 7월에는 이용 자격(소득기준)을 완화하고 국가보훈대상자와 북한이탈주민 자녀들로 대상자를 확대했다. 장기적으로는 이용자격을 소득 기준 85% 이하까지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이제형 기자 brother@naeil.com